네트워크 오디오 시스템, 스트리밍 오디오 시스템/Roon 65

실텍 로얄 싱글 크라운 USB 케이블의 여파와 대안 고심 - 뉴클리어스 플러스를 룬의 엔드포인트로

2022/11/28 오디오 시스템에 변화를 시도해서 큰 업그레이드가 이뤄질 때는 좋은 일과 더불어 이전 시스템의 후진 부분도 드러내는 것을 피할 수 없곤 합니다. 산이 높으면 골도 깊다는 말이 있듯이 실텍 로얄 싱글 크라운 USB 케이블은 엄청난 능력을 보여줬던 만큼 시스템의 한계도 여실히 드러내줬습니다. 오렌더 N200의 USB 출력에 연결했을 때는 오디오 생활에서 느껴보기 어려웠던 음악의 감흥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했는데 브라이스턴 BDP-2의 USB 출력에 연결했을 때는 그런 감흥이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2014년도 출시 제품과 오랜 시간을 거쳐 개량을 거듭해 온 오렌더 제품 간의 성능 차이를 실감했습니다. 저처럼 오래된 제품을 사용하는 분들은 실텍 로얄 싱글 크라운 USB 케이블의 진가를 느끼지 못..

Roon 2.0을 통해 IsoAcoustics zaZen I의 최적 위치 파악

2022/09/27 Melco S100 네트워크 스위치에 IsoAcoustics OREA Graphite와 IsoAcoustics zaZen I을 투입해서 네트워크 오디오 재생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으나... 아직도 제 오디오 랙 중에 한 칸은 헐벗은 유리판으로만 채워져 있고 그 유리판에 파워 서플라이가 올려져 있어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MSB the Isolation Base에 IsoAcoustics GAIA III를 투입했을 때도 그렇고, 헝그리 오디오제 DC Filter box에 IsoAcoustics Graphite를 투입하고 나서 잠재되어 있던 소리의 재생능력이 터져 나오는 것을 경험했기에 Teddy Pardo DC 파워 서플라이의 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zaZen I을 추가..

뉴클리어스 플러스와 IsoAcoustics OREA Graphite

2022/08/29 클라세 CA-M300 모노 파워 앰프에 IsoAcoustics OREA Bordeaux 도입하고 나서 그간에 누리지 못했던 소닉 너바나를 즐기던 중... 무심결에 브라이스턴 BDP2의 MPD로 재생해 보게 되었는데... 이게 뉴클리어스 플러스로 재생되는 것보다 훠~ㄹ씬 더 음악답게 들리는 거였습니다.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뭘까 잠시 생각해 봤는데... 외관상으로 딱 봤을 때, 브라이스턴 BDP2는 |isoAcoustics zaZen I받침 위에 IsoAcoustics GAIA III 발로 지지되는데 비해, 뉴클리어스 플러스에는 IsoAcoustics zaZen I 받침만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어디에는 있고 어디에는 없는 것이 재생음에 영향을 주었을 걸로 예상해 봅니다. ​공평한 비교를 ..

뉴클리어스 플러스 - DC 필터 (2) 헝그리 오디오 DC 필터 도입 결과

2022/05/26 룬 재생 시스템의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뉴클리어스 플러스용 파워 서플라이에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용 DC 필터를 사용한 것이 신의 한 수였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멜코 순정 DC 필터의 성능 수준도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긴 하지만, 저는 이미 헝그리 오디오에서 자체 제작한 DC 필터 V-CAP 스페셜 버전의 위력을 알아버려서 멜코 순정 DC 필터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해보고 싶었습니다. 헝그리 오디오에서 자체 제작한 DC 필터 V-CAP 스페셜 버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60만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기본형 모델을 선택하지는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헝그리 오디오 자체 제작 DC 필터의 기본형 모델은 멜코 ..

뉴클리어스 플러스 - DC 필터 (1) Melco S100용 DC 필터 도입 결과

2022/05/25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더넷 케이블이 허술해서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을 모두 개선할 수 있게 되었고 그래서 완성도 높아졌습니다. 오랜 세월에 걸친 실패의 경험으로 깨우친 비법이 있다면 오디오 시스템의 성능이 정말로 업그레이드되면 그동안 파묻혀서 드러나지 않던 문제가 노출되며 불쾌함도 동반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좋아지기만 한 것은 어쩌면 업그레이드가 아닐 수도 있다는 거. 저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아 잘 모르고 있었는데 이더넷 케이블 개비 후 또 뭔가가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모르다가 알게 된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문제는요... MPD로 재생하면 소리가 괜찮았지만... Roon으로 재생하면 소리에 찰기가 없게 들린다는 것입니다. 으음... Roon 재생음의 품질이 MPD 것..

RooDial

2021/11/16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다이얼을 룬 조작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 생겼네요. RooDial MSB renderer 입력을 사용할 경우에는 MSB 휠 리모컨으로 룬 재생 일시정지, 리쥼, 재생, 정지, 다음 챕터, 이전 챕터 등을 재생할 수 있는데요... 저는 브라이스턴 BDP-2를 룬의 엔드포인트로 사용하고 있어서... 그런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룬 플레이와 관련된 조작을 하려면 아이패드를 켜거나 아이폰을 켜서 조작해 줘야 합니다. 저뿐만 아니라 상당히 많은 룬 사용자들이 리모컨으로 룬을 조작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라즈베리파이만 켜놓고 있으면 마이크로 서피스 다이얼로 룬을 조작할 수 있으니 제법 편리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저라면 아무리 편해도 마이크로..

빈티지 맥미니에 룬 코어 설치해 봤습니다...

2021/06/27 2012년형 맥 미니 (CPU: i5, 4GB 메모리, 운영체제 하이 시에라)에 룬 코어를 설치해 봤습니다. ​ 밤새 켜놨는데 상판 온도가 32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바깥 온도는 25도 일 때 온도 측정했습니다) 그에 비하면 뉴클리어스 플러스(CPU: i7)의 상판 온도는 체온보다 높습니다. 아무리 i5를 사용했다 치더라도 32도밖에 안된다니... 애플이 파워 매니지먼트 측면에서 요령을 피운 게 아닐까 의심해 봅니다. ​ 원래 사용하던 자리에서는 별로 좋은 인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땡땡거린다는 느낌. 단조로워지는 것 같습니다. 실망스러웠지만 아무래도 연결한 네트워크 시스템(컴퓨터용)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인 것 같았습니다. [컴퓨터용 네트워크 시스템] 맥미니 | 산와 CAT7 이더넷..

뉴클리어스 플러스 8 MB 램 16 MB 램 업그레이드

2021/01/24 저는 작년부터 파일재생을 전적으로 룬 재생 시스템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룬 코어로 사용하고 있는 뉴클리어스 플러스의 만듦새에 신뢰하는 입장입니다. 본체에 대해서는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지만 파워 서플라이와 파워 케이블에 대해서는 신경을 바짝 써줘야 합니다. 저는 TeddyPardo 파워 서플라이 (퓨즈 대신 서킷브레이커 장착한)와 Final Touch Audio Elara 파워 케이블로 강화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해서 충분히 만족해하고 있습니다. 예전부터 뉴클리어스 플러스에서 사용하는 인텔 NUC7i7BNB 보드는 메모리 듀얼채널을 지원하며, 메모리 듀얼채널을 사용하면 메모리 대역폭이 늘어나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된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실행에 옮긴 지는 얼마 되지 ..

뉴클리어스 플러스 듀얼 채널 메모리 효과

2020/12/12 애플 뮤직에서 음원을 재생할 때 램에 음원을 올려 재생하고 있어서 아이맥에 설치된 8 GB 램을 증설하면 애플뮤직의 음질이 향상될까 궁금했습니다. 처음 배송 온 32 GB 램 2개는 인식이 안되어 반품하고 다시 받아 램 업그레이드를 시켜놓기는 했는데요... 아이맥 램이 늘어났다고 해서 애플뮤직의 재생 음질이 향상되지는 않는군요. 잘 모르는 세계... 후루룩 말아먹었네요. 칼을 뽑았지만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것에 안타까워하면서... 뭐라도 엮어보겠다며... 아이맥에서 뽑아낸 오리지널 램 8 GB 램(4 GB 램 2개)을 뉴클리어스 플러스에 끼워보기로 했습니다. 뉴클리어스 플러스에는 기본으로 싱글채널 8 GB 램이 달려있지만 (램 슬롯 2개 중 1개에만 램이 꽂혀있어요)... 뉴클리어스 ..

뉴클리어스 플러스에 SSD장착하고 데이터베이스 백업

2020/03/31 룬을 사용한 지 1년이 넘었지만 데이터베이스 백업 없이 사용했습니다. 1년간 들어온 음악 데이터는 브라이스턴 BDP-2 하드디스크 증설하는 과정에서 모두 날아가 버렸네요.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해 두었다면 좋았을 텐데... 이제라도 제대로 사용해보자 싶어 SSD 드라이브를 뉴클리어스 플러스에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룬 데이터베이스 백업에 필요한 최소의 SSD 사이즈는 120GB로 알고 있었는데... 잘 찾아보니 60GB 짜리도 문제없다는군요. 2012년에 잠시 테스트만 해보고 처박아 둔 60GB짜리 2.5인치 SSD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바로 실행! 1. SSD를 뉴클리어스 플러스의 비어 있는 베이에 고정시켰습니다. 절차는 ( https://kb.roonlabs.com/Instal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