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오디오 시스템, 스트리밍 오디오 시스템/Roon 65

뉴클리어스 플러스와 SOtM sPS-500 파워 서플라이

2019/02/23 얼마 전 번개 모임 때 동료 필자분이 가져온 아이맥 룬 코어+스토리지로 재생해 보고 나서 그동안 제가 뉴클리어스 플러스에서 느꼈던 아쉬운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뉴클리어스 플러스가 저역이 힘없어서 아쉬움을 느끼고 있었는데... 그게 맞았네요. 그에 비해서 아이맥은 저역이 튼실하게 들렸습니다. 애플이 전원을 잘 만들었거나 macOS 운영체제와 룬과 잘 어울렸거나 그랬던 모양입니다. 뉴클리어스 플러스의 음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파워 서플라이를 보강해 보는 것으로 잡아봤습니다. 뉴클리어스 플러스는 운영체제를 리눅스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으니까 적어도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한 룬 시스템보다는 백번 중 백번 유리할 것 같으므로 운영체제는 고려대상에서 제외해도 될 것 같고요...

룬 뉴클리어스 플러스 설치

2019/01/23 박스에 포함되어 있는 Quick Start Guide의 순서에 따라 Step 1: Plug in & turn on 장치들을 연결합니다. 뉴클리어스 플러스, 스토리지 (Bryston BDP-2의 내장 하드디스크에 담긴 음원을 SAMBA 서버로 사용), MSB DAC V용 Renderer V2 입력 (Roon의 endpoint) 장치를 모두 켭니다 Step 2: Get control 아이패드 미니 4에 Roon Remote app을 설치합니다. Step 3: Sign up & sign in 아이패드에서 Roon Remote app을 열면 뉴클리어스 아이콘이 보이면서 Core를 선택하라는 표시가 나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해서 앱에서 보이는 대로 탭 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마칩니다. ..

저도 룬의 세계에 발을 담아보기로 했습니다

2019/01/22 저는 룬 랩의 뉴클리어스/뉴클리어스 플러스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었는데... 몇 주전에 GLV에 다녀온 후로 생각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그 계기는 이렇습니다. GLV에 방문해서 사장님하고 얘기하던 중, 저의 올해 목표가 NAS를 도입해서 본격적인 네트워크 재생을 하겠노라 밝힌 데에서 시작했습니다. 사장님이 저의 목표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여러 가지 솔루션을 이것저것 소개해 주며 들려주셨는데... 그중에서 가장 충격적인 결과는 룬에서 MSB Select Transport장치를 선택해서 재생했을 때였습니다. 음질이 끝판왕 수준으로 나오네요. 룬 뉴클리어스 플러스는 단독으로는 대단한 능력을 발휘할 수 없지만... MSB Slect Transport와 MSB Select DAC 시스템에 편입하..

룬에서 클래식 음악 전곡 비교하기 기능

2019/05/25 룬에서 클래식 음악 전곡이 실린 앨범을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소개합니다. 비교해 보고 싶은 해당 곡의 세부 트랙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요... 트랙이 1-4로 표시되어 있는 헤더(?)에 곡명이 표기되어 있고 거기에서 오른쪽으로 약간만 더 시선을 옮기면 CD모양을 한 아이콘이 있습니다. (하트 모양의 아이콘 바로 왼쪽에 있음) 이것을 탭 하면 전체 라이브러리에 있는 곡이 모두 나열됩니다. 너무 쉽죠? 참고로 CD 모양을 한 아이콘 아래에 숫자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10이라고 표시되어 있는데요. 이것은 10개의 앨범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룬이 보여주는 리스트 중에서 듣고 싶은 앨범을 골라 재생하면 됩니다.

룬 Go To Composition 기능

2019/05/14 음악을 듣다 보면 다른 연주가들은 어떻게 연주했는지 비교해 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룬 사용자라면 그럴 때 사용하는 기능이 Go To Composition 기능입니다. 절차는 알고 보면 쉽습니다. 비교해 보고 싶은 해당 곡의 시간이 나와 있는 쪽에서 오른쪽으로 약간만 더 시선을 옮기면 점선 3개가 아래방향으로 향한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것을 탭 하신 후, 나타나는 창에서 "Go to Composition"을 찾아 탭 하면 끝입니다. 그러면 해당 곡이 검색이 되어 나타납니다. 이제 손쉽게 곡을 비교해 들어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시험해 보니 작품명이 복잡한 곡은 검색에서 누락이 되는 경우도 있네요. 이럴 때는 무식하지만 search를 사용해서 보완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