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라인 액세서리 100

다시 살펴본 나의 오디오 시스템 업그레이드 (2월) - 시너지스틱 리서치 SRX MSB Spec

프롤로그 저는 2009년 Linn DS 도입 이후로 파일로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재생 또는 스트리밍 오디오 재생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십 수년간 고전해 왔습니다. 그러다가 시너지스틱 리서치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를 접하게 되고 도입하게 되면서 완전히 해소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그저 디지털 오디오 재생의 한계라고 느꼈던 부분을 깨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전에 오디오 소스기기가 가지고 있던 재생의 벽이란 것을 뛰어넘는 것도 가능하겠다 싶었습니다. 이를테면 LP를 넘어서 마스터 테이프 영역에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그래서 이 김에 그동안 해왔던 자잘한 업그레이드보다 좀 더 종합적으로 오디오 재생 수준을 높여보고 싶었습니다. 그러기 위한 밑작업으로 2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던 파워라인을 하나의 파워라인..

다시 살펴본 나의 오디오 시스템 업그레이드 (2월) -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

프롤로그제가 안티포데즈 올라드라 뮤직서버/스트리머와 시너지스틱 리서치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 중에서 부두 서버를 선택하게 했던 유인 포인트 중에 하나는 꽤 고급 파워 케이블을 번들로 제공해 준다는 것이었습니다. 안티포데즈는 이런 덤이 없었지요.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를 주문할 때 저렴하게(?) 추가금을 지불하고 상위제품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특전이 제공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고, 당시에도 SRX XL 파워 케이블로 업그레이드해 보라는 권고를 받았긴 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 케이블에 대한 아무런 경험도 없었고 추가비용이 엄청나서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저는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를 수령받은 이후에 번들 유포리아 SX 파워케이블(2022년경 출시, $3,495, 4,..

다시 살펴본 나의 오디오 시스템 업그레이드 (12-1월) -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셀 8 UEF SE

하이파이클럽 방문데모에서 불붙기 시작한 파워라인에 대한 찜찜함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군요.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온 트랜스페어런트 파워뱅크 6로 더 파본들 좋아질 일은 없을 것 같아 업그레이드를 해보기로 했습니다.업그레이드 대상은 해외에서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은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 셀 8 UEF SE (번들 파워케이블은 2천불짜리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LEVEL 2 파워 셀 High Current 파워 케이블)입니다.현재는 단종이 된 제품이라고 하네요.   SE는 배선재가 변경이 된 거라고 하는데요, SE버전은 제품 바닥면에 SE라고 기재된 홀로그램 스티커와 박스의 프린팅을 가지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트랜스페어런트 파워 뱅크6가 90년대 마크 레빈슨스러운 다크 한 느낌이 있었다면, 시너지스..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파워 케이블에 Basic Ground Wire 테스트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 케이블 단독 구입 시 Basic Ground Wire를 번들로 제공합니다.파워 케이블의 뷸렛 체결 부위 주변에 작은 금색 플러그가 노출되어 있고 이것을 베이식 그라운드 와이어의 끝과 연결하고 베이식 그라운드 와이어의 플러그를 멀티탭에 꽂아주면 체결 완료입니다. 그렇게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파워 케이블에 베이식 그라운드 와이어를 연결한 결과는...톤이 낮아지고 고역의 살랑임이 억제되는 쪽입니다. 저는 걸그룹 Kiss of Life의 Sticky가 싱그럽게 들리기를 희망하는데...그렇게 들리지 않네요. 별로 신나지 않은 상태에서 노래 부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건 아마도 시너지스틱 리서치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에 연결한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파워 케이블

저는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 케이블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았는데요.그러다 최근에 시너지스틱 리서치 이더넷 UEF, 시너지스틱 리서치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 시너치스틱 리서치 파워셀8 UEF SE를 도입하게 되면서 번들로 제공해 주는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 케이블을 경험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1. 시너지스틱 리서치 이더넷 UEF +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SX 12AWG 파워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이더넷 UEF 잠시 사용했을 때 파워 케이블은 실텍 클래식 레전드 880P 보다 번들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SX 12AWG 파워 케이블($599)도 상당히 인상적인 퍼포먼스를 내줬습니다. 오디오 재생 시스템이 실텍 파워 케이블로 전부 도배가 되어 있는 상태인데, 가격도 한참 미치지 못하는 ..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셀 8 UEF SE

오디오 시스템에서 파워라인이 중요하다는 격언은 틀린 적이 없습니다.그리고 변치 않는 것 또 하나는 오디오에 보탬이 되는 파워라인 제품이 있는가 하면 굥이 되어버리는 파워라인 제품이 있기도 합니다. 파워라인 제품을 도입할 당시에는 좋은 줄 알고 믿었는데 시일이 한참 지난 후 이게 오디오의 질서를 무너트리는 수괴 격이고, 이와 관련된 수족들 모두 같은 계통이었다는 걸 나중에 알게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런 걸 내가 선택했다니... 왜 그랬을까 하며 낙담할 수도 있습니다. 파워라인 디스트리뷰터나 파워 스트립(=멀티탭)은 오디오에서 그렇게 중요성이 높은 데 비해 정보를 얻기 어렵고 믿을만한 정보는 더더욱 얻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여러 오디오 시스템을 접해보신 분의 말씀으로는 유감스럽게도 좋은 파워라인 ..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SX 12AWG 파워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이더넷 스위치에 딸려온 파운데이션 SX 12AWG 파워 케이블도 상당히 인상적인 퍼포먼스를 내줬습니다. 실텍 클래식 레전드 880P 급에서는 허용되어 있지 않은(?) 화려함을 표현하더라고요. 영상으로 비유하자면 MLA2세대 패널을 사용한 LG OLED G4급 제품이 가지고 있는 펀치력을 갖췄다고 해야 할 것 같은데요. HUE 체감면에서도 덩달아 좋아진 느낌. 실텍 제품 계보상에서 이 정도의 화려함을 표현할 수 있도록 허락된 것은 S10 도체를 사용한 로얄 크라운 시리즈 또는 그 이상으로 가야 할 텐데요...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SX 12AWG 파워 케이블은 실텍 클래식 레전드 급 파워 케이블과 한두 개 정도 섞어 사용해도 부족함이 없는 좋은 제품인 것 같습니다. 시너지스틱 리서..

LHY Audio SW-10 네트워크 스위치의 내장 보드 고정 볼트를 풀고나니...

부모님 오디오 시스템에서 LHY Audio SW-10 네트워크 스위치 데모를 해 드리면서 LHY Audio SW-10에 다소간 수정이 되어야 할 부분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조치사항으로 꽉 조여져 있던 내장 보드 고정 볼트를 느슨하게 해 줬습니다. 그런데 이 조치 이후에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음에 문제를 (또는 문제가 있었던 부분을) 드러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조치가 잘못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으나... (오디오력이 짧은 경우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음) 오히려 그동안 가려져 있던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이 드러나게 된 것이고 조치가 적절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를 불편하게 만든 부분은 음색과 관련이 있는데요... (참고로 저는 오디오 시스템을 구축하는 내내 썰렁한 소리가 ..

미공개 오디오 조각글 - Holo Audio RED 순정퓨즈 vs. Hifi-Tuning Copper 퓨즈

2023. 11. 4 작년 이맘때 헝그리 사장님을 저의 집으로 모셔서 미니 디지털 오디오 세미나? 열었었는데요. 오늘 다시 모셔서 1년간의 활동 소개 후 뉴클리어스 플러스로 여러 곡을 들어보고 Hz Core MK2 시제품으로 비교해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Hz Core MK2 시제품에는 Siltech Royal Single Crown 네트워크 케이블, Siltech Explorer 270P 파워 케이블, IsoAcoustics zaZen I을 투입해서 최적조건을 맞춰주었고 그러자 오렌더 N200, N20, N30 같은 최고급 라인 제품에서 느낄 수 있었던 에어리얼한 재생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생상스 죽음의 무도를 재생했을 때 (레퍼런스 레코딩, 아이지 오 지휘) 뉴클리어스 플러스를 통해서..

실텍 클래식 레전드 파워 케이블 단자 교체되었습니다

저는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실텍 클래식 레전드 680P 파워 케이블을 추가하고 싶었는데... 최근 수입분부터 오야이데 로듐도금 플러그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후루텍 금도금 단자로 공급되었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접해본 케이블 중 로듐도금한 단자를 사용한 케이블에서 부정적인 경험이 많이 겪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도 음색에서 냉기가 사라지지 않았고 이런 음색은 감내하기 어려웠습니다. 예외는 실텍 클래식 레전드 680 점퍼 케이블 (로듐 도금 단자 사용) 뿐입니다. 사실 실텍은 이전부터 로듐도금을 종종 사용해 왔었으며 제가 이 회사의 검청능력을 믿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전의 부정적인 경험치가 더 많이 쌓였기에... 굳이 제가 스스로 돈을 들여서 실텍에 대한 신뢰를 입증해 보고 싶은 생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