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오디오 시스템, 스트리밍 오디오 시스템/Roon 65

Hz CORE MK2 셋업시 오디오 디바이스 등록 유의사항

룬 서버 새로 선택하고 나면 룬 레디 오디오 디바이스를 새로 등록해야 합니다. 이때 출력장치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값이 Device volume (가변출력)일 수 있습니다. Roon ready장치가 디폴트로 Device volume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Device volume, 즉, 가변출력으로 설정하면 장단점이 있습니다. 가변출력은 볼륨을 룬 리모트에서 조작할 수 있어 사용하는 데 무척 편리하지만 음질적인 면에서 손해를 봅니다. 가변 출력은 음질 정도는 희생해도 좋다는 분만 선택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는 불편해도 음질에서 손해 보는 것은 참을 수가 없어서 고정출력으로 놓고 사용하는 파입니다. 고정 출력으로 변환하는 것은 금방 됩니다. 아래 화면에서 Device volume 옆 아래쪽 화살표를 탭 ..

룬 스토리지 사이 특성 비교하고 싶다면

룬 스토리지별 재생 음질 특성을 비교하고 싶다면 우선 동일한 음원을 여러 룬 스토리지에 저장해 두어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음원이 룬에서 인식이 되었다면 아래 그림처럼 VERSIONS가 표시됩니다. VERSIONS라고 씌여있는 부분을 탭 하면 동일 음원이 저장된 룬 스토리지가 나열됩니다. 재생하고 싶은 음원을 고르고... Play now 버튼을 탭해주면 됩니다. (그림상에서는 Roon Optimized Core Kit Internal Storage로 선택이 되어있는데요, Nucleusplus/data로 바꾸고 싶으면 해당 아이콘을 탭 하면 됩니다.) 그리고 현재 재생중인 곡의 버전을 알고 싶을 때에도 VERSIONS 부분을 탭해 주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생 중인 곡의 버전 확인 후 다시 앨범화면 또..

Nucleus Plus을 룬 스토리지로 사용 - 설정 방법

Hz CORE MK2 수령하고 며칠에 걸쳐 내장 8TB 스토리지에 고해상도 음악파일을 저장했습니다. Hz CORE MK2가 룬 서버로서 역할을 워낙 잘하는지라 Nucleus Plus는 실업자가 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그런데 생각을 달리해 보면 Nucleus Plus에 내장 8TB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으니 실업자 신세를 면할 수 있겠네요. Nucleus Plus를 룬 서버로는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룬 스토리지로 용도를 변경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럴 경우 Hz CORE MK2 8TB에 Nucleus Plus 8TB를 더해 총 16 TB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브라이스턴 BDP-2도 운용하고 있어서 브라이스턴 BDP-2 내장 스토리지 16TB까지 더하면 총 32TB로 늘릴 수도 있고요) Nuc..

미공개 오디오 조각글 - Hz CORE MK2 시제품 12월 첫주

2023. 12. 05 제 사심을 채우기 위해서 오디오 쇼 참석하는 대신 헝그리 사장님을 졸라 전원부를 PCB에 올리고 세컨드 SSD를 올린 Hz CORE를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이전에 받았던 좋은 인상은 찾아보기 어려웠는데요. 그간의 사부작질 경험을 살려 이런저런 시도해 봤고 보드 체결 방법이나 SSD 체결 방법에서 문제점이 어떤 것인지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PCB에 올리고 SSD 고정 새시까지 제작했으니 정말 길고 긴 개발의 마지막 장일줄 알았는데... 의외로 고민을 좀 더 해야 할 것 같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오디오 내부는 미묘한 부분에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오디오 제조는 역시 어려운 것 같습니다. 문제점 발견하셨으니 곧 해결방법을 찾으실 거라 믿습니다. 그로부터 3주일 뒤..

미공개 오디오 조각글 - Hz CORE MK2 시제품 11월 첫주

2023. 11. 04 작년 이맘때 헝그리 사장님을 저의 집으로 모셔서 미니 디지털 오디오 세미나? 열었었는데요. 오늘 다시 모셔서 1년간의 활동 소개 후 뉴클리어스 플러스로 여러 곡을 들어보고 Hz CORE MK2 시제품으로 비교해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현재는 파워서플라이용 커스텀 보드가 채용되기 전 버전이고 음원저장용 SSD 장착은 결정되어 있지 않다고 하네요. ​ 최상의 조건을 찾는데 약간 시간이 걸렸습니다. 전용 받침을 사용하고 사진 찍었지만 실제 청취는 전용받침을 제거한 상태에서 진행했습니다. 다른 곳에서는 약발이 있던 전용 받침이 제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전용 받침이 잘 먹히지 않은 듯... 로마에 가면 로마의 법을 따라주는 취지에서 전용 받침 없이 재생한 것으로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Hz CORE와 Hz CORE MK2 사양 비교

Hz CORE 10세대 저전력 CPU - N5105 (TDP 10W) 8GB DDR4 램 x 2 Roon OS: Roon ROCK (Roon Optimized Core Kit) 운영체제용 SSD: 128GB 12V 2A 리니어 파워서플라이 1개를 둘로 분기하여 하나는 메인보드 12V공급하는데, 나머지 하나는 5V & 3.3V로 변환시켜 SSD (운영체제용) 구동에 사용 전원부에 콘덴서 사용 (전원부 용량이 여유롭다고 할 수 없는데, 그 대신 DC필터에 사용한 콘덴서 튜닝으로 승부를 거는 방법) 기본 콘덴서: Jantzen, 옵션 콘덴서: Duelund, V-Cap 중 택1, 기본-옵션 토글 선택 가능 운영체제용 SSD에 독자 설계 전원부 제공 하드와이어링 스토리지용 SSD 지원하지 않음 OCXO: 옵션,..

Hz CORE MK2

저는 2006년경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음악파일 재생에 입문했습니다. 2009년 dCS P8i CD/SACD 플레이어를 처분하고 Linn Akurate DS를 도입하면서 uPNP, DLNA를 사용한 본격적인 파일 재생을 시도했습니다. Linn DS 플레이어가 오디오 업계에 음악파일 재생에 물고를 터줬다는 점에서는 큰 족적을 남겼지만... 린에서 직접 파일 서버를 제공해 주지는 않았는데요... 그런데 파일 서버 쪽이 음질에 매우 취약하다 보니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려웠습니다. 개인의 능력으로는 파일 서버를 개선해 보려고 고생을 했지만 개선할 수 있는데 제약이 많았습니다. 해도 해도 잘 안되어 하도 스트레스를 받아서 미칠 것 같던 2012년 대안이 될까 싶어 Meridian 818 V2와 MD600로 ..

오디오퀘스트 카본 USB 케이블 C to C에 놀라고 말았습니다

룬 컨트롤러로 사용하는 애플 아이패드에 충전 배터리와 USB C to C 케이블을 연결하면 오디오 재생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룬 컨트롤 앱을 종료하면 그런 효과가 날까 싶어 시도해 보면... 단순히 룬 컨트롤 앱을 종료하는 것으로는 청감상 차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USB 케이블을 사용해서 연결했을 때만 청감상 차이가 발생합니다. 제가 테스트해 본 결과로는 각각의 USB 케이블의 자체 특성에 의해서 매우 큰 차이가 발생하고요... 의미 있는 결과를 가져오는 USB 케이블은 실제로 동글 형 USB DAC에 연결해 재생했을 때 오디오 재생 특성도 우수했습니다. vice versa로 동글 형 USB DAC의 오디오 재생 특성이 좋지 않은 USB 케이블을 아이패드와 충전 배터리를 연결하면 오디오 시..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AP는 룬 재생 퀄리티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히 큽니다

꾸역꾸역 경험해 보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AP (Access Point)는 오디오 재생 퀄리티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히 높은 제품이더군요. 그렇지만 이걸 알기 전까지는 AP에 대해서 하찮게 여기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기 쉽겠습니다. 저의 경우만 해도 남들과 다를 바 없었습니다. 아래 그림은 딱 1년 전 제가 구축했던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인데요. 당시에 저는 AP인 ipTIME Extender-GIGA를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이자 노이즈 발생원이라고 여겨서 AP가 있는 부분을 Dirty Box라고 불렀고, 더티 박스와 나머지 네트워크 시스템을 광분리한다면, 더티 박스 속 제품은 경제적인 파워서플라이나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해 주어도 재생음에 영향이 거의 없을 거라는 예상 했습니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