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라인 액세서리

다시 살펴본 나의 오디오 시스템 업그레이드 (2월) -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

raker 2025. 3. 1. 09:40

프롤로그

제가 안티포데즈 올라드라 뮤직서버/스트리머와 시너지스틱 리서치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 중에서 부두 서버를 선택하게 했던 유인 포인트 중에 하나는 꽤 고급 파워 케이블을 번들로 제공해 준다는 것이었습니다. 안티포데즈는 이런 덤이 없었지요.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를 주문할 때 저렴하게(?) 추가금을 지불하고 상위제품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특전이 제공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고, 당시에도 SRX XL 파워 케이블로 업그레이드해 보라는 권고를 받았긴 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 케이블에 대한 아무런 경험도 없었고 추가비용이 엄청나서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저는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를 수령받은 이후에 번들 유포리아 SX 파워케이블(2022년경 출시, $3,495, 4,900,000원)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퍼포먼스를 내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부두 뮤직 스트리임 서버를 도입한 다른 사용자분 중에는 주문하실 때 아예 SRX XL 파워 케이블로 업그레이드하여 상당히 만족스럽게 사용하신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시너지스틱 리서치의 상급 파워 케이블은 어떤 경험을 주는 걸까 궁금해졌습니다. 

 

하지만 저는 언감생심 SRX XL 파워 케이블 (2024년 출시, $13,000/6ft, 18,000,000원)을 알아보기는 두려워서... 그 아랫급 SRX 파워 케이블 (2021년 출시, $10,000, 14,000,000원)과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 (2023년 출시, $6,995, 9,800,000원)에만 관심을 가져봤습니다.

 

결과를 먼저 스포해 드리자면,

SRX 파워 케이블은 제가 기대하는 부분과 다소 다른 방향의 제품이었습니다.

(SRX 파워 케이블과 SRX XL파워 케이블은 다소간 방향이 다른 제품이라고 하는데, SRX 제품에서 제가 기대하는 부분이 맞지 않았다면 저에게는 SRX XL 파워 케이블 쪽이 맞을 것 같다고 하네요. 그렇지만... SRX XL 파워 케이블은 제가 염두에 두는 가격대를 벗어난 제품이라 더 이상 탐색하지 않고 미지의 영역으로 두기로 했습니다.ㅠㅠ)

제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이 제가 기대하는 부분을 잘 채워줬습니다.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의 상위제품 갈릴레오 시리즈는 LE(1세대, 2013년 출시), UEF (2세대, 2017년 출시)와 SX (3세대, 2018년 출시)를 거쳐 디스커버리(4세대, 2023년 출시)까지 오랜 시간 동안 심혈을 기울여 다듬어온 제품입니다.

이전 세대의 제품에 비해 디스커버리 제품은 어떤 달라진 부분이 있었는지 알고 싶어 Gemini에 조회해 봤습니다.

 

Synergistic Research의 Galileo Discovery 기술은 Galileo SX 시리즈의 발전을 바탕으로 고급 케이블 디자인의 추가 진화를 나타냅니다. 주요 측면과 개선 사항에 대한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Galileo Discovery의 주요 발전 사항:

SRX 기술 통합:
Galileo Discovery 시리즈의 주요 초점은 Synergistic Research의 최상급 SRX 케이블 라인을 위해 개발된 기술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SRX 다중 주파수, 장시간 고전압 컨디셔닝 프로세스: 이 고급 컨디셔닝 프로세스는 분자 수준에서 신호 흐름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케이블에 적용됩니다.
SRX 탄소 섬유 UEF 튜닝 회로: SRX 시리즈에서 파생된 이 튜닝 모듈은 케이블을 개별 시스템 및 선호도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정밀한 음향 조정을 허용합니다.

 

향상된 UEF 및 그래핀 응용:
Galileo Discovery는 향상된 잡음 감소 및 신호 전도도를 위해 그래핀을 강화하여 UEF 기술을 더욱 개선했습니다.
또한 보라색 퓨즈에 처음 사용된 새로운 UEF 화합물이 이제 케이블에 사용됩니다.

 

향상된 차폐 및 접지:
UEF Matrix Shield를 포함한 차폐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은 전자기 및 무선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접지 기술에 중점을 두어 케이블 차폐를 Synergistic Research 접지 블록에 접지할 수 있어 잡음을 더욱 줄입니다.

 

세련된 소재 및 구조:
하이엔드 라인과 마찬가지로 Galileo Discovery는 고순도 소재와 세심한 구조 기술을 활용하여 최적의 신호 전송을 보장합니다.

 

본질적으로 Galileo Discovery 시리즈는:

Synergistic Research의 축적된 케이블 설계 전문 지식의 정점을 나타냅니다.
SRX 시리즈의 발전을 활용하여 새로운 수준의 성능을 달성합니다.
노이즈 최소화, 신호 무결성 극대화, 사용자에게 미세 조정 옵션 제공에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Galileo Discovery 라인은 SRX 라인의 가장 뛰어난 특성을 가져와 Galileo Discovery 라인에 구현함으로써 Galileo SX 라인보다 한 단계 더 높습니다.

 


1차 시도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케이블은 세면대 배수관 파이프만큼이나 굵은 데다가 끝부분 20~30cm 정도는 휘어지지 않는 한 덩어리에 가까워서 설치하는 데 애로가 있습니다. 설치하는 데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1차 시기에는 DAC나 서버에는 연결해 보지 못했고 오디오 시스템에서 한참 떨어져 있는 시너지스틱 리서치 네트워크 라우터 UEF에 연결해 볼 수 있었습니다.

기존 네트워크 라우터에 연결했던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12 AWG(번들 케이블)를 사용했을 때는 오디오 시스템이 약간 나이브한 것처럼 느껴졌는데...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을 연결하고 나니 풀 충전되어 있는 최상의 상태나 무드에서 연주하는 것 같다는 든든함이 느껴지는군요.

이 오디오 시스템에서 들어본 것 중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놀라운 점은 다이내믹이 엄청나면서도 자연스럽게 표현이 된다는 것입니다. 풍부하고 디테일이 대단합니다.


​성능상에서는 아쉬움이 들지 않는 훌륭한 제품이 맞지만... 
공간을 상당히 많이 차지하는,  연결하기 까다로운, 가격면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제품이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연결 제품

음악 소스: 코부즈 하이 레졸루션 음원 (스트리밍)

네트워크 라우터: 시너지스틱 리서치 네트워크 라우터 UEF

파워 케이블: 실텍 클래식 레전드 880P,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12 AWG,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이더넷 케이블: 오디오퀘스트 다이아몬드 R/J 이더넷 케이블

 

액세스 포인트: Aruba Instant On AP25

이더넷 케이블: 오디오퀘스트 다이아몬드 R/J 이더넷 케이블

12V DC 파워서플라이 (액세스 포인트 전원공급용): Plixir Elite BDC 12V 듀얼 아웃렛

DC 케이블: Plixir the Statement DC cable

파워 케이블: 실텍 클래식 레전드 880P


2차 시도

시너지스틱 리서치 네트워크 라우터 UEF에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도 음질을 개선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부두 서버에 상급 파워 케이블을 연결했을 때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알고 싶어 했던 부분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여기서 그만둘 수는 없어 오디오 랙 위치를 다시 재조정해서 부두 서버에 연결해 보기로 했습니다.

 

그러면서 또 하나의 궁금증도 풀어보고 싶었습니다.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를 구입할 때 SRX XL 파워 케이블로 업그레이드하신 분에게 궁금했던 점을 문의해 본 적이 있습니다. 부두 서버에 번들 파워케이블이 끼워져 있고 추가로 번들 파워케이블 보다 좋은 파워 케이블이 1개만 있을 경우 더 좋은 파워 케이블을 부두 서버에 연결하는 것이 유리할지 아니면 DAC에 연결하는 것이 유리할지...

(물론 만족감을 얻기 위해서는 번들 파워 케이블 보다 좋은 파워 케이블을 DAC와 부두 서버 모두에 연결해 주면 좋겠으나...)

하지만 그분은 DAC에도 고급 파워 케이블을 사용하고 계셔서 그런지 몰라도 제가 원하는 답을 해주지는 못하셨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스스로 궁금증을 풀어보기로 했습니다.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을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셀 8 UEF에 연결하는데... 바로 꽂히지는 않았고요... 이리저리 살펴보고 나서야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케이블을 연결하는게 쉽지는 않았습니다. 과장을 보태면 이런 느낌 이려나... (스파이더맨 2 [2004] 저작권 문제시 삭제하겠습니다)

 

연결하기는 시간이 걸렸습니다만

결과는 아주 즉각적이었고 명백했습니다.

부두 서버에 상급 갈릴레오 디스커버리를 연결하고 DAC에 유포리아 SX를 연결했을 때 재생음이 당당하게 나와줍니다. 
하지만 DAC에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을 연결하고 부두 서버에 유포리아 SX를 연결했을 때는 그런 당당함은 나타나지 않는군요.

부두 서버가 가지고 있는 성능을 충분히 다 뽑아내 주기 위해서는 꽤 까다롭게 고안한 파워 케이블이 필요하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 조건에서 DAC까지 파워 케이블이 보강되면 어떤지 궁금해졌습니다.

 

연결 제품

음악 소스: 코부즈 하이 레졸루션 음원 (스트리밍)

네트워크 스위치: Ansuz PowerSwitch D3

파워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12 AWG, 실텍 클래식 레전드 880P

 

룬 서버: 시너지스틱 리서치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

이더넷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SX 이더넷 케이블

파워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DAC: MSB Reference DAC

Renderer: MSB Renderer Module V.2

이더넷 케이블: 오디오퀘스트 다이아몬드 R/J 이더넷 케이블

파워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3차 시도

2차 시도에서 알아보고 싶었던 것을 바로 풀어볼 기회를 얻었습니다.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 하나를 더 대여받아서 부두 서버와 MSB Reference DAC 둘 다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을 연결하면 어떤 일이 생기는지 확인해 봤습니다.

이것도 바로 답이 나오네요.

MSB Reference DAC에서 나온 적이 없는 스케일감이 펼쳐졌습니다. 와, 너무 멋집니다!
자연스럽고 중역이 충실합니다.


​통상적으로는 DAC이 소모하는 전력이 많지 않으므로 소스용 파워 케이블을 권장하는 편인데… MSB DAC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MSB DAC는 엔트리 모델이건 최상급 모델이건 빵빵한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했을 때 좋은 결과가 나왔고 (파워베이스를 하나 더 추가하여 2개 사용하면 퍼포먼스가 엄청 높아진다는 공통점이…)

MSB Reference DAC의 경우에는 실텍 클래식 레전드 680P 파워 케이블 사용하다가 실텍 클래식 레전드 880P 파워 케이블을 꽂아보고서 깜짝 놀랐었는데, 그 후에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파워 케이블을 꽃아 본 후에 또다시 높은 세계가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추가 구매했었는데요...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은 대형 오디오 시스템에 사용하는 용도로 개발된 것이 틀림없습니다. 풍채와 생김새 대로 소리가 나와주네요.

DAC가 최종적으로 소리를 아날로그로 만들어내는 곳이다 보니까 전원에 상당히 민감한 것은 사실이며, 이런 장치를 위해서는 상당히 잘 고안된 파워 케이블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의 단점은 연결하기 위한 여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인데요. 극성을 맞게 연결하려 한다면 사용자가 꽤나 고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두 군데 다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을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이 세상에 공짜는 없고 당당함을 얻으려면 그만큼 지불해야 하는 것이 오디오의 세계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낍니다. 

MSB Reference DAC과 시너지스틱 리서치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에서 사용했던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파워 케이블은 Ansuz PowerSwitch D3와 시너지스틱 리서치 네트워크 라우터 UEF에게 넘겨줬습니다.

그리고 시너지스틱 리서치 네트워크 라우터 UEF에 연결했던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12 AWG는 액세스포인트에 DC 파워를 공급하는 Plixir Elite BDC에게 넘겨줬습니다.

액세스포인트에 DC전원을 제공해 주는 파워서플라이에 연결한 파워 케이블까지 빠짐없이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워 케이블로 바꿔줘야 홀로그래픽 하게 소리가 재생되더군요.

 

연결 제품

음악 소스: 코부즈 하이 레졸루션 음원 (스트리밍)

네트워크 스위치: Ansuz PowerSwitch D3

파워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시너지스틱 리서치 파운데이션 12 AWG

 

룬 서버: 시너지스틱 리서치 부두 뮤직 스트리밍 서버

이더넷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SX 이더넷 케이블

파워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DAC: MSB Reference DAC

Renderer: MSB Renderer Module V.2

이더넷 케이블: 오디오퀘스트 다이아몬드 R/J 이더넷 케이블

파워 케이블: 시너지스틱 리서치 애트모스피어 유포리아 SX,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사족

애초에 궁금증을 가지지 말았어야 합니다.

연결해 보고 나니 차이가 워낙 커서 이전으로는 다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 같았고요...

결국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 2개를 도입하는 것으로 끝나게 되는군요...

제품을 정말 잘 만들었습니다. 칭찬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한번 유입한 사용자를 빠져나올 수 없도록 나머지 제품들도 훌륭하게 잘 만들었습니다. 새로운 시도와 근면으로 결국 개미지옥 건설 성공! 그리고 유럽 케이블 회사에 비하면 덜 황당하게, 성능대 가격을 공정하고 sensible 하게 맞춰준 부분에 대해서도 존중합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시너지스틱 리서치 갈릴레오 디스커버리 파워 케이블 2개를 사용하는 비용이나 시너지스틱 리서치 SRX XL 파워 케이블 1개를 사용하는 비용이나 서로 엇비슷해졌습니다. ($14,000 vs. $13,000)

2대 1 매치를 떠올려보고 화들짝 놀라 다시 정신을 차리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제가 요즘 너무 자주 충격을 받은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