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라인 액세서리 100

오디오 케이블 - JPS Digital AC 전원 케이블 (내돈내산)

2006/11/29 저는 성격상 들어온 제품을 빨리 내쫓아버리는 스타일이 아닙니다. 그런데 JPS Digital AC 전원케이블은 단 한 번의 세션에서 부적격 딱지를 맞고 며칠 지나지 않아 전격적인 방출을 단행해 버렸지요. 이 제품은 저하고 세 번 정도 인연이 있었습니다. 맨 처음에는 오디오 리뷰를 하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였는데 하이파이넷 멘토 격인 사람으로부터 공부 삼아 들어보라고 해서 며칠간 빌려 들었는데 그 당시엔 크게 좋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저 그런 것 같다는 느낌 정도였죠. 두 번째는 오디오 잡지사에서 케이블을 맡아서 리뷰해 달라는 바람에 끙끙대며 들어봤었지요. 이상하게도 그때는 좋은 점이 돋보였습니다. 그 당시에는 케이블을 리뷰할 정도로 오디오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

오디오 케이블 - JPS Keptovator AC cord (방문청취)

2005/02/13 제일 먼저 느껴지는 것은 무대가 넓어지는 것처럼 들린다는 것이고, 그다음에 느껴지는 것은 소리에 압박감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런 특징은 예상을 뛰어넘는 것이었는데 다른 전원 케이블과 (JPS Digital AC, JPS Power AC) 비교해 봤을 때 그 질적인 수준 차이가 매우 현격하게 드러난다. 그다음 특징으로 화사한 느낌이 든다. 청취곡에서는 시원하고 찰랑찰랑함이 살면서도 자극적이지 않고 생동감이 깃든 재생이 된다. 악단의 연주자 수가 확 늘어난 듯한 느낌을 주는 ‘물건’이다. 이 제품에는 무시무시한 가격표가 붙어 있는데 이 가격표엔 ‘네가 이런 것 만들 수 있으면 어디 한번 만들어봐’ 하는 식의 자신감과 우월감이 흠씬 반영되어 있다고 보인다. 권장소비자 가격은 ..

전압에 따른 청감상의 느낌

2005/02/14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전원장치를 통해서 전압을 240 볼트까지 올려서 들어보면 소리가 땐땐해 집니다. 약간 비음악적인 것 같긴 하지만 참고하시면 되겠고요. 반대로 전압이 210볼트 정도로 떨어지면 풀어진 소리가 나옵니다. 재미있는 결과였습니다. 이런 현상을 응용해서 아이솔레이션 트랜스포머의 출력 전압을 높여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제품도 나왔습니다. 일반적으로 아이솔레이션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면 풀어지는 소리가 들리는데 (트랜스의 코일을 통과하면서 임피던스가 높아지고 파워 전달이 약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것을 출력 전압만 높여서 그럴싸하게 만든 경우입니다. 전압이 높으면 파워팩터가 높아지나요? 그리고 이런 현상을 잘 감안해서 일제 내수형 제품을 사용할 때에 정확한 정격전압에 맞춰주..

리스닝 조명 - 백열전구로 갈아봤습니다

2013/08/15 거실을 밝혀오던 23와트짜리 삼파장 전구 여덟개를 대신해서 60와트짜리 백열전구 네개로 교체해 봤습니다. 교체비용은 4천원. 전력사용량은 184와트에서 240와트로 증가되었네요. 그런데 밝기가 충분하지 못해서 40와트짜리 백열전구 여덟개로 바꿔야 할것 같습니다. 소리 면에서는 만족스럽습니다. 거실등의 불을 켜나 끄나 음질 면에서 차이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군요. 전자기파 측정기에서도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전기소모를 늘이지 않으면서도 오디오 퀄리티도 추구해야 한다면... 거실등은 그냥 삼파장 전구로 계속 사용하고, 오디오 틀때만 거실등 대신 별도의 백열전구 램프를 켜두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거실내에 벽면 보조등이 설치되어 있다면 거실등 대..

리스닝 조명 - 시대를 거스른 조명을 선택하게 되었네요

2013/08/14 그동안 굳이 비교해보려고 하지 않았었지만... 삼파장 거실등을 켰을 때와 껐을 때 음질상으로 어떤 차이가 나는지 작심하고 비교해 보기로 했습니다. 삼파장 거실등을 켜면 음악의 하모닉스 재생이 잘 되지 않고 소리가 깊이와 무게를 가지고 재생되지 않았고, 삼파장 거실등을 끄고 나면 하모닉스 재생이 잘 되고 깊이와 무게를 가지고 재생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삼파장 거실등을 켠 것과 끈 것의 음질 차이는 상당히 컸습니다. 가격으로 환산해 보면 천만 원 이상 벌어지는 것 같네요. 음악을 심각하게 들을 때는 항상 거실등을 끄고 듣는 습관을 가지게 되어서 굳이 삼파장 거실등을 교체해주지 않아도 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전말을 알게 된 이상 삼파장 램프가 매달려 있는 꼴을 그대로 두고 볼 ..

리스닝 조명 - 집안의 고주파 노이즈 발생 총량을 줄여보고 싶습니다

2013/08/11 형광등이나 삼파장등은 오디오 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형광등이나 삼파장등을 켜면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생겨서 전원의 질이 나빠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백열등이나 다리미 같은 순저항 부하는 전류와 전류 위상차가 없어서 - 이것을 역률 100%라고 하기도 합니다- 전원의 질이 나빠지지 않지만... 콘덴서가 들어간 용량성 부하나 코일이 들어간 리액턴스 부하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생기게 한다고 하네요) 뿐만 아니라 형광등이나 삼파장등은 고주파 노이즈도 방출합니다. 형광등이나 삼파장 전구를 켜고 있다가 불을 끄면 소리가 좋아지는 걸 느끼셨던 분 많으실 걸로 압니다. 제가 예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간단한 전자기파 측정기를 여러 가지 전기 제품에 ..

저렴한 감압 트랜스포머 자작하기

May 24th, 2004 by hifinet 220V>100V 감압 트랜스포머 문한주(raker5235@hanafos.com) 2004-05-24 02:07:03 아이솔레이션 트랜스포머는 전선을 타고 침입하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반대로 전원선으로 노이즈가 방출되는 것도 줄여준다. 환상적인 소리처럼 들린다. 그 대신에 치뤄야 대가가 있다. 코일이 감겨 있는 트랜스포머의 구조는 전원의 임피던스를 높인다. 임피던스가 높다는 말은 전류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과 동의어이다. 전기적인 이론으로도 그렇고 경험치로도 그렇고 파워앰프처럼 전력소비가 많은 제품에 아이솔레이션 트랜스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미군용 폐기부품이니 호스피털 그레이드라고 현혹하는 고급 아이솔레이션 트랜스도 예외는 아..

써지 탈출기 (모노리딕 파워 플랜트 P3 전원부 개조) (내돈내산)

2004-01-03 12:14:12 필자가 밤늦게 음악을 듣다보면 틱하는 소리와 함께 잠시 음악이 끊기는 현상이 있어 신경을 거슬린다. 주범은 주방에 있는 냉장고다. 냉장고의 컴프레서 모터가 돌아가려는 순간에 과도전기가 흘렀기 때문이다. 집안에 오디오 전용 배선공사를 따로 하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도 해보지만 윗집 주인장의 취미는 열쇠깎기라도 되는지 난데 모를 모터가 돌아가는 진동이 느껴질라치면 전기줄을 통해 스파이크가 티티티틱 거리며 스피커에서 계속해서 재현되는 것을 보면 전기 공사만으로는 잡을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현상은 써지(surge)나 하모닉이 전원선에 혼입된 경우에 일어나는 것이다. 써지나 하모닉의 발생원은 형광등, 모터, AVR, 그리고 파워 스위칭 으로 전력 변환을 하는 비선..

오디오 플란 파워코드 S (리뷰대여)

2003-05-16 21:21:44 파워 코드 S 수입원 오디오 복스 : 02-501-7343~4 가격 : 33만원 /1.5미터 (환율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고 함) 오디오플란은 독일의 하이엔드 케이블 전문회사로 20여 년에 달하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규모에 의한 생산이나 마케팅 능력만 가지고는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높은 경지의 제품 경쟁력을 보유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오디오플란에서 파악하고 있는 (오디오에 공급되는) 전원 케이블의 문제점은 마이크로포닉 현상으로 요약된다. 벽체 안에 자리 잡은 전깃줄은 진동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지만 일단 벽에서 나온 이후에는 진동에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사의 전원 케이블은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독특한 구조로 설계하게 ..

오디오플랜 파워스타 G + 파인필터 S (리뷰대여)

오디오플랜 파워스타 G + 파인필터 S입체감과 임팩트가 향상되는 흥미로운 제품 2002-11-28 01:31:53 전원케이블에 이어 이번에는 입체감과 임팩트가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제품을 소개한다. 오디오플랜 사는 독일에 기반을 둔 회사로 스피커, 전원장치, 각종 케이블 등을 취급하고 있다. 이 회사에서 전원장치를 개발하게 된 동기는 스피커와 인터커넥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원이 재생음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발견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독일사람의 철저한 성격에 전원의 영향에 대한 현상파악을 하는 것도 대책마련도 쉽지 않았던 모양이다. 제품 개발에 6년이란 시간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이런 산고 끝에 1989년에 콘덴서를 사용하지 않은 전원필터인 파워플랜트를 출시했고 지금까지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