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오디오 시스템, 스트리밍 오디오 시스템/네트워크 시스템 135

룬 스토리지에 세번째 헝그리오 오디오 Hz Lan Isolator ADVANCE 투입 결과는?

2022/12/17 헝그리 오디오 Hz Lan Isolator ADVANCE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강력한 빌런의 존재를 똑똑하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WIFI extender의 경우에는 엄청난 노이즈가 발생되는 대상이라고 추정해 왔던 대상이라서 그렇게 강력한 빌런인지 확인하게 되었을 때도 놀랄 정도는 아니었지만... 인터넷 인입선이 그다음으로 강력한 빌런이었다는 것은 미처 가늠해 보지 못해서 충격이었습니다. 이런 빌런에 대응하는 오디오 업계의 대책은 그동안 지지부진했고... 오디오애호가 중에 일부는 임의의 소리로 덕지덕지 뒤덮어 버리는 시럽형 이더넷 케이블, 또는 노이즈와 함께 지우지 말아야 할 것까지 홀랑 지워버리는 지우개형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여 빌런을 피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

헝그리 오디오 Hz Lan Isolator ADVANCE 인터넷 인입선에도 투입

WIFI Extender와 Aruba 2530-8G 네트워크 스위치 사이에 연결해 두었던 보급형 랜 아이솔레이터를 사용했을 때 재생음은 멍에가 쓰인 듯 무디고 졸려져 있듯 납작했습니다. (그렇다고 보급형 랜 아이솔레이터를 제거하면 재생음의 소리가 날아다니고 경질이 되어버립니다.) 보급형 랜 아이솔레이터를 헝그리 오디오 Hz Lan Isolator ADVANCE로 변경하고 나서 멍에가 풀린 듯 제대로 소리 나게 되었습니다. 다이내믹스에 제한이 없게 되었고 음악 표현에 저하를 미치는 부분은 발견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제작사에서는 인터넷 인입선에도 랜 아이솔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제가 이전에 다른 회사의 랜 아이솔레이터를 인터넷 인입선에 사용했을 때는 사용해서 얻는 장점보다는 사용했을 때 ..

헝그리 오디오 Hz Lan Isolator ADVANCE와 텔레가르트너 S/FTP 4X2XAWG23/1 Cat 7A 이더넷 케이블 보완 후

2022/12/11 유무선공유기 대신 유선 공유기와 WIFI Extender로 분리하여 각각을 광케이블로 아이솔레이션 시키는 것이 오디오 재생능력을 향상하는데 크게 일조했습니다. 2021년에 발견한 최대 발견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WIFI 신호 송출과정에서 무지하게 만들어내고 있는 노이즈가 오디오 시스템에 침투하여 음질을 망가트리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 유선공유기와 무선 WIFI Extender 사이를 2단에 걸쳐 광분리하면 노이즈가 유선 공유기 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충분할 것으로 여겼고, 모든 부분에 최선을 다하기는 힘드니... 무선 노이즈를 맞이하는 최전선의 장치에는 (더티 박스라고 여기고) 구성품의 퀄리티에 신경을 덜 쓰는 대신, 2차 광분리 이후 장치는 오디오에 가까우니 (클린 박스라고 여기고..

Hz 커스텀 ipTIME T5004에 Caritas 클럭 장착 - 대성공

2022/11/14 헝그리 오디오에서 ipTIME T5004 DC filter 버전(초기 수량 한정)에 클럭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는 안내 문자를 받았습니다. 지난 7월에 헝그리 오디오에서 ipTIME T5008 공동제작주문을 받을 때, ipTIME T5004 DC filter only버전 사용자들에게도 클럭 업그레이드 기회를 주어서 그 당시에 신청을 해 두기는 했지만, 그 당시에는 완전 기대에 차서 신청을 했다기보다는... 나중으로 넘기다가는 아예 시도도 해보지 못할 수도 있겠다 싶어 클럭 업그레이드에 참여한 것에 더 가까왔습니다. 제가 미적댔던 이유는... 까마득한 예전에 공유기에 클럭 업그레이드로 큰 성능향상을 경험해 보지 못했고, HP1810 네트워크 스위치에 클럭 업그레이드 했을 때도 약간의 성능..

Aruba 2530-8G 네트워크 스위치에 파워 서플라이 보강이 되어야 하네요

2022/10/19 뉴클리어스 플러스용 DC 필터 박스를 IsoAcoustics zaZen I위에 세워두기로 함에 따라 IsoAcoustics OREA Graphite 1개가 남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남은 OREA Graphite를 HP 2530-8G 네트워크 스위치 아래에 1점 지지로 사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결과를 언급하기 전에 우선 제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콘셉트를 잠깐 설명드리자면… 네트워크 시스템 중에서 무선신호 생성이 가장 노이즈를 많이 발생시키는 ..

Teddy Pardo 파워 서플라이에도 IsoAcoustics OREA Graphite 도입

2022/10/03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메인 역할을 해주고 있는 ipTIME T5004 (custom tuned by 헝그리오디오), 뉴클리어스 플러스,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 2대에는 Teddy Pardo 파워 서플라이 (DC 12V, 듀얼 출력) 2대로 DC 전원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 Teddy Pardo 파워 서플라이는 도입한 이래로 계속 헐벗은 유리판 오디오 랙 위에 놓여 있다가... 최근에 IsoAcoustics zaZen 1을 도입하고 나서 굴욕 없이 제대로 기량을 발휘하게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여기에서 멈출 법도 합니다만... 다른 제품에서 zaZen 1에 OREA까지 가세했을 때 시너지가 발생하는 것을 여러 번 확인했던지라... 그 맛을 본 사람 욕심이 여기..

IsoAcoustics zaZen 1의 진가를 알게해준 IsoAcoustic OREA Graphite

2022/09/27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에 IsoAcoustic OREA Graphite를 달아준 것이 신의 한 수였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기뻤으나. 그와 동시에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 2대 중에서 1대에만 IsoAcoustics OREA Graphite를 달아준 것이 마음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좀 더 보완해 주면 보답해 줄려나? 하지만 알려진 바 없네요. 궁금하면 가봐야 하는 거라... 나머지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에도 달아주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ipTIME T5004 유선공유기 (Tuned by 헝그리 오디오)와 MSB ProUSB input에도 달아주기로 했습니다. 각 3개, 3개, 1개씩 제품 하나마다 OREA Graphite를 추가해 나가기 볼까 생각이 들었다가... 그..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와 IsoAcoustics OREA Graphite

2022/09/05 그동안 신경 써주지 못했던 인터넷 인입 이더넷 케이블까지 하이엔드 오디오급으로 조치해 주어서 이제는 더 이상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음질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부족한 점은 찾기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 생각은 일주일도 안되어서 다시 수정해야 했습니다. 발단은 네트워크 시스템 사진을 보다가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의 발을 보게 되면서였는데요...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의 발은 여러 단계를 거쳐 폴리우레탄 재질의 3M 범프온까지 오게 되었는데... 이게 지금 시점에서도 유효한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이전에 멜코 S100를 지지하는 데 사용했던 발과 특성을 다시 복기해 보자면 ..

인터넷 인입 이더넷 케이블로 실텍 로얄 시그니쳐 네트워크 크라운 결정

2022/09/04 저는 둘 중에서 설치가 용이해 보이는 이더넷 케이블을 선택했습니다. 실텍 로얄 시그니처 네트워크 크라운으로 낙점. (슈퍼 그라운드 케이블이 포함된 로얄 크라운 네트워크 케이블은 재생 스케일이 더 커졌을 거로 예상합니다. 이건 아마도 타사의 선을 넘을 것을 불사하는 괴랄한 이더넷 케이블에 대응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방안이었을 것으로 짐작해 봅니다. 그러나 제 시스템에서 그런 특성이 필요할까 생각해 보면... 굳이 그럴 필요는 없어 보였습니다.) 해골 버전 어쿠스틱 리바이브 RLI-1을 빼내고 실텍 로얄 시그니처 네트워크 크라운 케이블을 연결하고 나니 풀 스케일의 음악을 당당하게 내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재생음의 질서를 흐트러트리거나 누락하지도 않고요. 최종 변경된 네트워크 시스템입니..

인터넷 인입선과 유선공유기 사이를 연결할 오디오용 이더넷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2022/08/29 파일재생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몸을 담근 2009년부터 불과 몇 달 전까지 인터넷 인입선과 유선공유기 사이는 CAT5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해 왔습니다. 이 부분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것은 아닌데... 파일재생 시스템을 구성하려면 우수한 오디오용 이더넷 케이블이 많이 필요하다 보니 미처 인입선까지 신경을 써줄 겨를이 없었네요. 어째 '사는데 바빠서 돌보지 못했다. 미안하다' 같은 궁색한 변명같습니다. 어쨌거나 이 부분이 발등의 불이 된 계기는 헝그리오디오에 커스텀 튜닝을 맡겼던 ipTIME T5004 유선공유기 때문입니다. 튜닝 이후... 유선공유기 앞단에도 오디오 퀄리티의 이더넷 케이블을 연결해 주어야 소리를 말아먹지 않는 것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일단은 보관해 두었던 어쿠스틱 리바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