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21
CD의 경우 44.1kHz의 신호가 수록되어 있지만 이것을 재생할 때는 20kHz 이상의 신호가 오디오 밴드에 섞이지 않게 신호를 날려버려야 합니다. 모든 디지털 오디오 기기는 디지털 필터를 사용해서 울트라소닉 노이즈 신호를 날려 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디지털 필터링 방식은 주파수를 위주로 칼같이 필터링을 하면 타이밍상에서의 왜곡이 발생하게 되고 타이밍상의 왜곡을 최소화시키려다 보면 주파수를 이상적으로 필터링할 수 없습니다.
바흐의 평균율 2권 연주도 곡의 골격을 보여주려다 보면 선율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고 선율을 살리려다 보면 곡의 음악적인 골격을 제대로 보여줄 수 없습니다. 물에 빠진 아내를 구해주면 모친을 구할 수 없고 모친을 구해주면 보험금도 타고 새장가를 가야 하는 일이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처럼요.
이런 디지털 필터링 방식에 따라서 청감상의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디지털 필터가 시대에 따라서 여러 타입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가장 최근까지는 트랜지언트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한 디지털 필터가 유행했었습니다. 이런 디지털 필터가 적용된 제품에는 Ayre C7Xe (Listen), Audionet ART V2 (Audionet), Sony SCD XA-9000ES (custom) 등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들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프리에코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프리 에코가 있는 디지털 필터의 임펄스 특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zKfj/btsftJvxE4l/lSsh1kNujxAuwhbW30WKH0/img.png)
그리고 아래 그림은 프리에코가 없는 디지털 필터의 임펄스 특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DbCS/btsfcNsV3xa/H5gsPBEMg3I9hfeNOS9fd1/img.png)
프리에코를 가지지 않는 디지털 필터를 채용한 제품은 비교적 최근에 발표되고 있습니다.
메리디언 808.2, 메리디언 G-08.2는 프리에코가 없는 아포다이징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아포다이징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면 음악의 자연스러운 느낌이 탁월하다고 합니다. 저는 메리디안 G-08.2만 들어볼 수 있었는데 그 가격대의 제품에서 적수가 없을 정도로 탁월한 소리였습니다.
에어는 최근 아포다이징 디지털 필터보다 좀 더 개선된 Minimum Phase필터를 사용하고 있어 아포다이징 필터보다 좀 더 사실감 있는 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고 자랑하고 있습니다. MP는 QB-9등에 적용이 된다고 하고요 CDP나 유니버설 플레이어에도 MP버전을 내놓는다고 합니다. 에어에 사용한 미니멈 페이즈 필터는 이름이 의미하는 것처럼 페이즈 일치 부분에서 약간의 손실을 감수한 것 같습니다만 그게 어느 정도인지는 알려주고 있지 않으니 확인이 어렵겠군요. 에어에서 채택한 미니멈 페이즈 필터에 대한 청취 결과가 속속 보고되겠지요.
아래는 에어의 Minimum Phase필터의 임펄스 특징이라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oZUP/btsfdWXmy6k/zu2NuuFLpoO1LrGnSxoG21/img.gif)
그리고 놀랍게도 캠브리지 오디오 DACMAGIC 같은 보급형 제품에서도 프리에코가 없는 디지털 필터 (Min φ로 표기됨)를 선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술이 전파되는 시간이 참 짧아지는 것 같습니다.
'오디오 관련 기술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노 소리 엔벨로프 (0) | 2023.05.14 |
---|---|
소리의 여덟가지 요소 (0) | 2023.05.14 |
디지털 오디오 - pre-rigning, 없앨 것이냐 그대로 둘 것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0) | 2023.05.14 |
디지털 오디오 - 리니어 필터, 미니멈 필터 (0) | 2023.05.14 |
오디오 케이블 - Shunyata Research 창립자와의 인터뷰 기사 (0) | 202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