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관련 기술 설명

디지털 오디오 - DAC에 외장 클럭을 달았을 때 주관적으로 마음에 들 수는 있지만, 객관적으로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raker 2023. 5. 14. 10:20

2016/08/18

DAC와 관련된 글을 읽다가 외장 워드클럭을 사용한 DAC에 대한 사이다 같은 설명과 분석 기사를 보게 되어 올려봅니다.

Does Your Studio Need A Digital Master Clock?
(http://www.soundonsound.com/techniques/does-your-studio-need-digital-master-clock)

(전략)
Converter Performance & Master Clocks

There's a widespread notion that adding a high‑quality master clock to a digital system will somehow magically improve its overall performance. While that might possibly have been the case in the very early days of semi‑pro digital converters where, frankly, some of the internal digital clock designs were pretty ropey, it certainly isn't the case today. As I've explained above — and will prove below — today's converter designs generally work best on their own internal clocks, and most will deliver a slightly poorer performance when clocked externally. The very best devices will show no change in performance at all, because they have superb clock-extraction circuitry that can remove all traces of clock jitter and other external clocking artifacts, so they work just as well as when running on their internal clock.

So, although sonic differences may be perceived when using an external clock as compared to running on an internal clock, and those differences may even seem quite pleasant in some situations, this is entirely due to added intermodulation distortions and other clock‑recovery related artifacts rather than any real audio benefits, as the test plots illustrate.
(후략)

초창기 세미 프로 DAC 중에는 외장 워드클럭을 사용해서 마술처럼 성능이 좋아지는 경우가 있기는 했으나, 그것은 해당 제품의 내장 클럭을 다루는 설계에 문제점이 있는 경우라고 합니다. 최신 DAC인 경우 외장 워드클럭을 사용해서 소리가 좋아지는 것은 아니며 단지 인터모듈레이션 디스토션이 더해지거나 클럭 리커버리와 관련해서 아티팩트가 생겨나서 그저 소리만 달라지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외장 워드클럭을 달았을 때 묘하게 달라지는 소리가 마음에 들 수는 있지만... 그 소리는 원본 소스에서 멀어진 왜곡을 즐기는 것이라고 봐야겠습니다.

우리는 너무 오랜 세월 dCS 제품의 영향권에 있어서 오디오 애호가들 사이에는 외장 마스터클럭을 사용해야 소리가 좋아진다는 믿음이 생기게 되었지만...
dCS는 구형기술을 개선하려 하지 않고 주야장천 외장 마스터클럭에 기대고 안주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헤게모니를 쥔 오디오 업체의 무신경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3자 적인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가 불평해서 dCS에 개선(외장 마스터 클럭을 사용하지 않아도 소리가 좋도록)을 요구해야 하는 게 맞다고 보지만 dCS의 경우는 오랫동안 최고에 위치에 있으면서 업체가 사용자와 일본 쪽 리뷰어를 길들이고 세뇌시켜서 그런 요구를 할 생각을 하지 못하게 성공한 경우입니다. 일본 오디오시장이 한 업체를 spoiled 시켰다고 할 수 있겠네요. 미국 쪽은 세뇌가 되지 않았습니다. 한국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