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8/09
기계장치나 전기장치 시스템이 이퀼리브리엄 상태에서 특정 상태로 변하는 반응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입력 신호에 대해 출력 반응이 빠르면 트랜지언트 리스폰스가 좋다, 또는 트랜지언트 리스폰스가 빠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의 소리의 초동음을 어택이라고 지칭할 수 있었다면 오디오에서 녹음된 신호의 초동음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때 트랜지언트 리스폰스로 지칭하면 됩니다.
그러나 오디오에서 재생하는 신호는 실제세상에서 일어나는 것과 달리 왜곡이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전기회로는 기본적으로 시간, 발진 등의 왜곡 (rise time, overshoot (ringing), settling time, delay time, peak time)이 포함되고 거기에 덧붙여 진동에 의한 왜곡이 덧붙여지게 됩니다.
카트리지나 스피커는 기계적인 왜곡과 회로적인 왜곡이 훨씬 더 많이 발생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m9QG/btsfpevOZMM/ykzW4JVy1ETKW3Lsjbkjp0/img.gif)
'오디오 관련 기술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오디오 - CD플레이어를 진동에서 아이솔레이션 시켜보자 (0) | 2023.05.14 |
---|---|
디지털 오디오 - DAC에 외장 클럭을 달았을 때 주관적으로 마음에 들 수는 있지만, 객관적으로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1) | 2023.05.14 |
피아노 소리 엔벨로프 (0) | 2023.05.14 |
소리의 여덟가지 요소 (0) | 2023.05.14 |
디지털 오디오 - 프리 에코가 없는 디지털 필터가 채용된 디지털 오디오 재생제품 (0) | 202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