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케이블 - 인터커넥트 31

모가미 W2534 (내돈내산)

2011/10/22 Linn DS플레이어의 새로운 펌웨어 Davaar3이 변수로 작용해서 미세조정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오디오는 역시 한 치 앞을 예상할 수 없군요... 그렇지만 포기하지 말고 "계속 헤엄쳐" 프리앰프와 파워앰프 사이에 sommer케이블 the source MkII를 투입해 봤는데... 꾸미려고 하지 않는 소박함이 좋긴 했지만 어딘가 막선이 가지고 있는 어수선한 면을 가지고 있더군요. 그리고 차가운 경향의 독일식 사운드를 가지고 있는 것도 마음에 걸립니다. 고민을 하던 차에 마침 알고 있는 분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프리앰프와 파워앰프 사이에 모가미 W2534선이 좋다는 얘기를 듣었고요. 가격 부담이 크지 않아서 망설임 없이 바로 투입해 보기로 했습니다. 모가미 W2534선을..

AV프로세서와 프리앰프 사이에 사용할 아날로그 인터커넥트 케이블 찾기 (내돈내산)

2011/01/30 제 시스템의 AV프로세서와 프리앰프 사이의 거리는 2미터 정도 됩니다. 아날로그 인터커넥트 케이블의 중요성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2 채널 보완하기에도 급급해서 AV에까지 예산을 충분히 배정해 주지 못하는 형편이라 궁색하게 연결해서 사용해 왔습니다. 그런데 2 채널 오디오에 여러 튜닝을 시도한 결과가 좋아서 재생성능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AV 쪽 소리가 많이 뒤처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공연 영상물을 재생하는 빈도가 많이 줄어들게 되더군요. 이런 현상을 교정해 보고자 집에서 굴러다니는 인터커넥트에 대한 조사를 해봤습니다. 인터커넥트는 린 Akurate DS와 프리앰프 사이에 연결해서 평가해 봤습니다. 1. Linn Black Interconnect : 거칠다. 해상력이 좋지 않음...

WBT 0144 RCA 단자 vs. WBT 0101 RCA 단자 (내돈내산)

2005/03/21 프로용으로 사용된다는 몬스터의 선재를 가지고 케이블을 제작했습니다. WBT 0144 단자로 터미네이션 한 것은 저역이 두툼하고 약간 늘어지는 듯합니다. WBT 0101 단자로 터미네이션 하면 단자만 달라졌지만 지향점이 정말 달라져 버립니다. WBT 0101로 터미네이션한 것은 해상도가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반응이 빨라졌습니다. 뭉쳐져 있는 소리들이 풀리면서 막힌 것이 위아래로 틔여진 듯이 들립니다. 어떤 면에서는 음량이 약간 줄어든 듯이 들고요, 무게도 상대적으로 약간 가벼워진 듯이 들립니다. 그러나 자세히 들어보면 비교대상인 반덴헐 MC D501(스위치 크래프트 단자)이나 고딕(WBT 0144 단자)이 상대적으로 평면적으로 들릴만큼 3차원적으로 깊이를 가지면서 벨칸토를 하듯이 가볍게 ..

좋은 인터커넥트는 프리-파워 vs. 소스-프리 중 어디에 둬야하나

2005/02/15 좋은 케이블을 프리와 파워 사이에 사용하라고 알려주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제가 경험했던 경우는 이와는 약간 다른 경우가 될 것입니다. 동일한 선재에 다른 단자를 달아서 들어본 적이 있었는데요... 하나는 피크 음악신호 전달시에 약간의 컴프레션이 일어나는 케이블이고 (이하 네모1, 네모2 이라 하겠습니다.), 또다른 하나는 컴프레션이 일어나지 않는 케이블을 사용했을 경우였습니다. (이하 동그라미1, 동그라미2 이라고 하겠습니다.) 전기가 약하게 흐르는 프리-파워 앰프 사이에 네모1을 사용하고, 전기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흐르는 CD플레이어-프리앰프 사이에는 동그라미1을 사용해보면 음악을 듣다가 갑갑한 소리가 나는 적을 발견한 적이 없었습니다. 반면 프리-파워 사이에 네모1을 사용하고 ..

퓨어케이블 F10-GSR6 인터커넥트 (내돈내산)

Posted by 문한주 on 02/18 at 09:16 PM 퓨어케이블은 일본 카나레 회사에 GS6 인터커넥트 선재를 개량한 커스텀 선재 GSR6을 주문했고, 특성임피던스를 75오옴에 맞춘 카나레 RCAP 단자를 이용하여 터미네이션한 RCAP-GSR6 인터커넥트를 상품화 했다. 이 RCA 인터커넥트는 필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 주었고 하이파이넷에도 리뷰가 실려있다. 그 후 퓨어케이블은 수개월에 걸쳐서 카나레 F10 단자를 이용해서 터미네이션 방법을 파인튜닝 해왔고 간간이 필자에게 시험용 인터커넥트 샘플을 보내주었다. 필자는 처음에 단자가 그다지 고급스럽지 않기 때문에 상품성이라는 면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거라고 염려 섞인 답장 메일을 보내주었지만, 퓨어케이블은 한눈팔지 않는 뚝심을 가지고 튜닝 작..

리버맨 바이칼 인터커넥트 (리뷰대여)

March 29th, 2004 by hifinet 문한주(raker5235@hanafos.com) 2004-03-29 01:01:33 필자는 아직도 케이블에 대해 충분히 많은 경험을 쌓았다고 볼 수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일반적인 오디오 사용자에 비하면 조금은 더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있을법한데 지금까지의 오디오 경험을 기준으로 한다면 케이블만큼 오디오를 갈팡질팡하게 만드는 노이즈 팩터는 찾아보기 힘든 것 같다. 물론 진동이나 전원의 컨디션이라거나 룸 어쿠스틱 상태가 부적절한 경우에도 오디오를 최상의 성능을 내지 못하게 하는 저해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필자에게는 그보다는 부적절한 케이블을 사용했을 때 재생음에 미치는 해악이 더 직접적이고 심각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반면에 ..

카나레 L-4E6ATG 인터커넥트 (내돈내산)

September 28th, 2004 by hifinet 문한주(raker5235@hanafos.com) 2004-09-28 00:55:27 가격: 64,000원 1미터 페어 (비납땜 압착단자 RCAP-C3GS) 대여 협조: 퓨어케이블 (http://www.purecable.co.kr, purecable@purecable.co.kr) L-4E6ATG 케이블 스펙 도선 직류 저항: 5.6Ω/100m 미만 정전용량 : 150 pF/m 쉴드실드 : 알루미늄 박 실드 절연재 : 발광 폴리 에틸렌 게이지 : (한쌍시) 19 AWG의 스타 쿼드(Star Quad) 케이블 충전재 : 듀퐁 케블러 29 심선 : 무산소 동선 단자 RCAP-C3GS 몸체 재질 도금 : 황동 니켈 중심 접촉 재질 도금 : 인 청동 금 외측..

에비던스 리릭 인터커넥트 (리뷰대여)

September 27th, 2004 by hifinet 문한주(raker5235@hanafos.com) 2004-09-27 00:37:39 도체: IGL(TM) 구리 구성: 20 AWG 솔리드 코어 밸런스드 (단심선 x2) 절연재: 발포 폴리프로필렌 실드: 고밀도 구리망 피복: 그라파이트(진동에 의한 잡음 방지) 단자: WBT 01440(RCA단자) 가격: 154,000원 (1미터 페어) 수입원: (주)퍼트라 02)949-0431 지난번의 에비던스 오디오 사이렌 스피커 케이블의 리뷰에서 소개한 바 있었던 것처럼 에비던스 오디오는 탄탄한 저역을 얻으려고 단심선을 이용한 케이블을 설계하고 있다고 한다. Lyric HG(Hi Gain) 인터커넥터의 경우에도 단심선 두 가닥과 실드로 구성되었다. 폴리니가 연주..

리버맨 오디오 실버 드래곤 인터커넥트 케이블 (리뷰대여)

2002-11-30 22:46:22 음악이라는 것은 참으로 미묘하여 한 순간의 차이로도 그 뉘앙스가 바뀐다. 음악을 전기신호에 담아서 재생하는 기기인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도 각 장치 사이에 신호를 전달시키는 케이블에 따라서 오디오 재생음이 미묘하게 영향을 받는 현상이 존재한다.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음식의 조리 과정에서 불의 세기, 프라이팬의 바닥 두께와 달궈진 정도 그리고 조리시간 등에 차이에 의해서 음식 맛이 천양지차로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듯이 전깃줄의 피복물질이나 전도체의 배열방식 단자 등의 조합으로 이뤄진 각각의 케이블이 가진 소리특성을 우리가 가진 민감한 청각기관을 통해서 구분하고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의 능력이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실버드라곤 1미터 35만원 사..

리버맨 오디오 고딕 인터커넥트 (리뷰대여)

2002-11-05 02:07:35 리버맨 케이블은 하이엔드급 오디오 케이블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는 국내의 전문 케이블 회사로서 첫 시작은 스피커 스탠드를 내놓는 것으로부터 시작했다. 처녀작임에도 불구하고 변두리 제품으로 치부되던 스피커 스탠드의 중요성을 국내 오디오 동호인들에게 강하게 부각하는 기대 이상의 고무적인 성과를 얻었다. 그다음에는 파워 케이블로 또 한 번 단품으로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데 많은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자작 수준에 머물렀던 국내의 케이블 제작상황에서도 고급 케이블의 상품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입증시킴으로써 그 이후로 좀 손재주 있다 하는 사람들이 닥치는 대로 케이블 제품화에 뛰어들도록 시장을 구축한 바 있었는데, 한마디로 국내 오디오 업계에 보기 드문 풍운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