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4/15
파워 케이블은 오디오 시스템의 퍼포먼스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안타깝게도 좋은 파워 케이블을 만나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느려터진 (a.k.a. 질감 있는 소리), 힘이 없는, 대역이 잘린, 힘든 부분에서 거친 소리 쏟아내는, 힘 좋고 육덕지지만 디테일은 제로인, 고구마 먹은 것처럼 답답하게 만드는, 인공적인 착색을 가지는, 피어오르는 소리 위주여서 소리의 핵은 표현하지 못하는 파워 케이블이 곳곳에 포진해 있습니다.
저는 이런저런 파워 케이블을 사용해 보다가 나름 장점을 가진다 싶어서 오디오퀘스트 NRG-4와 와트게이트 오디오그레이드 단자로 터미네이션 한 것으로 정착하기로 하고 나머지 상업용 파워 케이블은 모두 정리했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케이블 데이에 오디오퀘스트 NRG-4 파워케이블이 파워감이 부족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에 파워 케이블에 튜닝해서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확인해 봤으나 실패했고 오디오퀘스트 NRG-4 파워 케이블은 제가 원하는 수준의 재생을 하기에는 심선의 게이지가 부족하다고 잠정적으로 결론 내렸습니다. 만약에 오디오퀘스트 NRG-4 파워 케이블 2개를 합쳐서 하나로 만들면 제가 아쉬워하는 부분이 해결되지 않겠나 싶지만... 그러자니 케이블의 integrity를 훼손해야 해서 마음에 걸리는군요.
그러던 중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을 공동구매하는 기회가 있길래 제품 설명이나 평판을 꼼꼼하게 읽어보고 2개를 신청해 봤습니다. 8 AWG급 케이블 3가닥을 꼬아 만든 괴물급 스펙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제품 설명에는 DAC에 사용하는 것을 제일 우선적으로 추천한다고 나와 있고 두 번째 추천은 CD 트랜스포트, 세 번째 추천은 프리앰프, 네 번째 추천은 파워앰프에 추천하는 것으로 나와있더군요.
제품을 받아봤더니 포장이 미니멀리즘의 진수였습니다. 뽁뽁이에 A4지에 양면 복사해 접어둔 제품소개서 1장이 전부이네요. 내부 심선이 두껍긴 하지만 심선마다 따로 피복을 감았기 때문에 구부리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심선마다 피복을 감싼 설계 센스를 칭찬합니다.
제조사의 추천과 정확하게 맞는 순서는 아닌데 제가 느끼기에 파워 케이블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느꼈던 브라이스턴 BDP-2에 먼저 연결해 봤습니다. 부족하다고 느꼈던 부분이 보완이 되었다고 느끼기는 했는데 그 영향력이 아주 두드러졌다고 할 정도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두 번째는 MSB Signature DAC V에 연결해 봤습니다. 그리고 났더니 드디어 시너지가 나타났는지 보완의 폭이 훨씬 커졌습니다. 브라이스턴 BDP-2에 연결했을 때의 영향도가 1이라면 브라이스턴 BDP-2와 MSB Signaure DAC V에 둘 다 연결했을 때의 영향도는 3~4 정도로 나타난다고 해야겠습니다. 만약에 1개만 신청했더라면 제품에 대한 평가에 과장이 있었나 보다 여겼을지도 모르는데 2개를 신청해서 그런 실수를 범하지 않게 되어서 다행이다 싶습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Audioquest NRG-4 파워 케이블이 다소간 신경이 곤두선 피곤한 소리를 내줬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처음 연결한 상태라 디테일이 완전하게 나오는 상태는 아니었지만 제품에 대한 신뢰 같은 것이 생겨서 그다음 날 5개를 추가로 신청했습니다.
제품을 받아 MSB Isolation Base에도 연결시켰습니다. 저역이 아래쪽까지 제대로 자리 잡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고 저역의 재생성능을 확인해 보고자 John Rutter의 레퀴엠 중 야누스 데이를 재생시켜 봤습니다. 지축이 도는 것 같은 어마무시한 저역의 실체감을 느끼는 것은 어려웠지만 그 골격이 흔들리지 않고 제대로 박혀있다는 느낌은 가질 수 있었습니다. 살집이 푸짐해진다는 느낌을 주지는 않습니다.
그다음에는 클라세 CA-M300 모노블록에 2개를 투입했습니다. 육중한 소리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예상을 했었는데 예상과 달리 특별히 체감할만한 느낌이 들지는 않은 것 같네요.
그다음에는 트랜스페어런트 Bank 6 멀티탭과 오야이데 SWD-GX-E 벽체용 콘센트 사이에 투입했습니다. 그러자 제대로 파워 실린 소리가 나오는군요. 하지만 모노블록에 연결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육중한 타입은 아닙니다. 아티큘레이션이 제대로 살아나는 소리를 들려주고 실제음처럼 즉각적인 속도로 뽑아준다는 느낌인데요. 이전에 사용하던 파워 케이블이 제대로 파워 전달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여실하게 느끼게 해 주었고 제대로 파워가 공급이 되었을 때 어떤 소리가 날 수 있는지 제대로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하나 남은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은 오포 UDP-205 플레이어에 연결해 줬습니다. 그런데 Arcam FMJ AVR750 AV리시버에는 아직 오디오퀘스트 NRG-4 파워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여서 그런지 오포 UDP-205로 재생한 CD 소리가 푹 퍼진 것처럼 느껴지네요. 브라이스턴 BDP-2로 재생되는 소리와 너무나 큰 격차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소리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나머지 제품에도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이 필요하겠다 싶어 추가 투입을 하기로 했습니다. 며칠 후 Arcam FMJ AVR750 AV리시버에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 연결하고 나니 크게 벌어져 있던 격차가 확 줄어드는군요. 사용하던 파워 케이블이 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었던 거였네요. 오디오는 팀추월경주 같다는 생각이 팍 듭니다.
처음에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을 연결할 때는 디테일이 충분히 재생되지 않는 상태입니다만 대략 72시간 정도 뺑뺑이 시키고 나면 그동안 잠겨져 있었던 디테일한 소리가 나와주기 시작합니다. 이제 200시간이 넘어서 충분히 섬세한 소리가 나옵니다. (업체에서는 브레이크인에 150시간이 소요된다고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오디오 시스템의 파워 케이블을 모조리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로 교체했습니다. 보통의 케이블 회사는 강전용 파워 케이블, 약전용 파워 케이블 이런 식으로 제품을 만들곤 하는 데 AntiCables는 단일 모델로 전체 제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성공했네요.
제가 칭찬하고 싶은 부분은 제품 설계를 스마트하게 하고 소리 특성이 치우치지 않도록 세심하게 튜닝하여 한 시스템에 복수의 파워 케이블을 투입했는데 파워 케이블의 특성이 전체 소리를 좌지우지하지 않게 만들어 낸 점입니다. 이렇게 중립적인 특성을 만든 파워 케이블은 제가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모든 케이블 업체는 인위적으로 보이싱을 합니다. 트랜스페어런트는 트랜스페어런트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노도스트는 노도스트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시너지스틱 리서치는 시너지스틱 리서치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아르젠토는 아르젠토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쿠발라 소스나는 쿠발라 소스나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역설적으로 오디오 시스템에 여러 개를 투입할수록 그 특성이 강해져서 소리를 망치게 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안티 케이블은 여러 개를 사용해도 소리를 망치지 않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네요.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을 사용해 보기 전에는 파워 케이블에 대해서 고민이 많았습니다. 제가 예측하기에는 NBS black label급의 파워 케이블이 되어야 비로소 제 마음에 드는 소리가 나와주지 않을까 싶었는데... 그러기에는 경제적으로도 상당히 부담이 되고 달성에 걸리는 시간도 오래 걸리겠다 걱정이 되었거든요. 그런데 그렇게까지 엄청난 부담을 하지 않아도 제한 없는 파워가 공급이 되었을 때 재생이 가능한 다이내믹스의 레인지를 경험할 수 있게 되어서 정말 기쁩니다. 완전 신세계네요. 하루라도 젊었을 때 이런 경험을 해야죠.
제가 생각하기에 이렇게 좋은 제품이 성능에 비해서 덜 알려진 이유는 좋은 제품이 가지고 있는 패러독스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디오 시스템에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을 한 개 또는 두 개만 사용했을 때는 오히려 기존 파워 케이블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드러내버리기 쉽습니다. 훈련이 덜 되어 있는 사람은 이런 특성을 잘못 판단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특히나 이런 가격대의 제품이라면 다른 제품이 만들어낸 허물을 대신 뒤집어쓸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AntiCables Level 3 Power Cable로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은 매우 선명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가능한 많은 제품에 투입하는 것입니다. 오디오는 팀추월 경기 같으니까요.
'파워라인 액세서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션야타 리서치 알파 NR 파워 케이블 (내돈내산) (0) | 2023.05.22 |
---|---|
PS Audio Perfectwave AC12 파워 케이블 (내돈내산) (0) | 2023.05.22 |
안티케이블 레벨3 파워 케이블, PS Audio Noise Harvester (내돈내산) (0) | 2023.05.22 |
전원 액세서리 - MSB the Isolation Base (데모대여->내돈내산) (0) | 2023.05.21 |
전원 액세서리 - AMR 골드 퓨즈, 하이파이튜닝 수프림 퓨즈, 수프림 copper 퓨즈 (내돈내산) (1) | 202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