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2/15
좋은 케이블을 프리와 파워 사이에 사용하라고 알려주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제가 경험했던 경우는 이와는 약간 다른 경우가 될 것입니다.
동일한 선재에 다른 단자를 달아서 들어본 적이 있었는데요...
하나는 피크 음악신호 전달시에 약간의 컴프레션이 일어나는 케이블이고 (이하 네모1, 네모2 이라 하겠습니다.),
또다른 하나는 컴프레션이 일어나지 않는 케이블을 사용했을 경우였습니다. (이하 동그라미1, 동그라미2 이라고 하겠습니다.)
전기가 약하게 흐르는 프리-파워 앰프 사이에 네모1을 사용하고,
전기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흐르는 CD플레이어-프리앰프 사이에는 동그라미1을 사용해보면 음악을 듣다가 갑갑한 소리가 나는 적을 발견한 적이 없었습니다.
반면 프리-파워 사이에 네모1을 사용하고 CD플레이어-프리앰프 사이에 네모2를 사용해 보면 갑갑함을 느끼게 됩니다.
동그라미2를 넣어서 동그라미1/동그라미2, 동그라미1/네모1로 연결했는지는 지금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만 어쨌든 저의 결론은 전기부하가 크게 걸리는 CD플레이어와 프리앰프 쪽에 그런 신호를 잘 처리할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면 더 효과적이라는 겁니다.
'오디오 케이블 - 인터커넥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프로세서와 프리앰프 사이에 사용할 아날로그 인터커넥트 케이블 찾기 (내돈내산) (0) | 2023.05.19 |
---|---|
WBT 0144 RCA 단자 vs. WBT 0101 RCA 단자 (내돈내산) (0) | 2023.05.16 |
퓨어케이블 F10-GSR6 인터커넥트 (내돈내산) (0) | 2023.03.19 |
리버맨 바이칼 인터커넥트 (리뷰대여) (0) | 2023.03.19 |
카나레 L-4E6ATG 인터커넥트 (내돈내산) (0) | 2023.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