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연주 감상

극강의 블루레이 공연 영상물

raker 2023. 4. 23. 07:28

2018/05/22

OLED TV를 장만한 이후에 제가 수집해 둔 블루레이 공연 영상물의 화질을 비교해 본 적이 있습니다.
2017년도에 출시된 블루레이/4K 공연물부터 시간의 역순으로 거슬러가면서 재생시켜 봤는데요. 영상의 세계에서는 2011년에 큰 마디가 있는 것 같더군요. 2011년 이전과 이후로 나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영상촬영소자에서 커다란 진보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던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제가 보유하고 있는 공연 영상물 중에서 두드러지게 좋은 영상 화질을 가진 것은 함부르크 엘프 필하모니 홀 그랜드 오프닝 콘서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클래식 공연물은 광량이 충분하지 못해 영상을 수록하기에 불리한 환경입니다. 게다가 거리가 멀어지면 빛의 밝기가 현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피사체에 반사된 빛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 원경을 담아야 할 때는 광량이 형편없이 줄어들어 최악의 조건이 되어 버리게 되는데요.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클래식 공연물의 경우 원경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가지고 평가해서는 안됩니다. 단원의 수가 30~40명 나오는 샷은 평가에서 제외하고 앵글에 단원이 예닐곱 명 이내만 들어온 샷에 대해서만 가지고 평가해 줘야 합니다.

그런데 이 엘프 필하모니 홀 그랜드 오프닝 콘서트에서는 원경에 대해서도 상당한 수준의 영상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공연장의 라이팅 설계와 운영능력도 절묘하지만 최신형 카메라의 영상촬영소자의 수광능력이 어느 정도까지 도달했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공연장 조명팀과 촬영팀 사이의 컬래버레이션과 노력이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 HDR이 지원되는 4K 공연물 타이틀의 수준도 이 정도의 완성도에 따라가지는 못했다고 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최상의 영상 화질 타이틀은 일단 함부르크 엘프 필하모니 홀 그랜드 오프닝 콘서트 블루레이 타이틀이 차지하는 걸로 봐야겠습니다.

한편, 음질 면에서는 이 블루레이 타이틀은 최고의 성과를 담아내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이 홀의 특성을 완전하게 파악하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한 게 아닌가 싶네요.


참고로 아래는 엘프 필하모니가 이전에 사용하던 함부르크 라이스할레 공연장에서 수록한 공연실황입니다.
영상의 화질 차이를 비교해 보실 수 있습니다.
믿기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엘프 필하모니 홀 그랜드 오프닝 콘서트와 같은 해에 출시된 공연실황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