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lco S100 네트워크 스위치 (내돈내산)
2020/02/02
네트워크 오디오가 가지고 있는 딜레마를 극복하려면
10여 년 전 린 DS 플레이어가 보급되면서 하이엔드 오디오는 신세계를 맞이했다. 오디오 애호가들은 태블릿 장치에 보이는 앨범과 곡을 오디오로 재생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보고 싶은 열망을 가지게 되었다.
세월이 흘러서 이제는 파일과 스트리밍 중심의 디지털 오디오 재생 플랫폼이 완전하게 자리 잡았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갖춘 네트워크 플레이어가 보급되었고, 사용자 조작 인터페이스는 Roon으로 완성되었다. 오렌더도 널리 보급이 되었다.
기능상으로는 오디오 애호가들이 가졌던 열망을 완전하게 충족시킬 수 있게 되었지만, 음질 면에서는 이전 세대의 CD나 LP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파일과 스트리밍 재생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NAS, 유무선 공유기 같은 IT제품들은 DAC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쳐 오디오 재생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안타까운 것은 어디가 문제인지 안다 해도 해결할 만한 마땅한 대안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IT 제품을 DAC에 연결했을 때도 음질을 저하시키지 않게 하려면 애초에 IT 제품을 설계할 때부터 오디오에 연결하는 것을 감안해서 설계해야 하지만… 십 수년 이상 디지털과 아날로그 혼성신호를 다뤄본 고급 인력을 NAS나 유무선 공유기를 만드는 중소기업에서 유치하기란 현실적으로 기대해 보기 어렵다. 그렇지만 일본 IT기업 버팔로에서 분사해서 오디오용 NAS를 개발하고 있는 멜코라면 그 어려운 일을 해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오디오 음질 향상에 기여하는 스위칭 허브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에 대한 본격적인 리뷰에 앞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양질의 네트워크 스위치가 추가되었을 때 오디오 음질 향상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배경 설명 하고자 한다.
유무선 공유기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필수제품이다. 그에 비하면 네트워크 스위치는 없어도 동작이 되기 때문에 필수 제품으로 여겨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HP 1810-8G나 HP 2530-8G 같은 양질의 네트워크 스위치를 유무선 공유기와 DAC 사이에 투입했을 때 오디오 재생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오디오 애호가들의 증언이 늘어나고 있다.
양질의 네트워크 스위치를 네트워크 시스템에 투입했을 때 오디오 음질이 향상되는 현상은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DAC에서 0과 1을 판정하는 기준은 전위차이며 전위차의 기준이 되는 것은 그라운드다. DAC의 그라운드가 안정된 경우 전원 변동에 의한 지터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런데 유무선 공유기는 대량의 노이즈를 발생시키며, 랜 케이블을 통로로 디퍼런셜 노이즈가 DAC로 유입이 되며, 노이즈는 DAC의 그라운드를 오염시킨다. 오염된 그라운드로 인해 전위차를 가늠하게 될 기준선이 들쑥날쑥 오르락내리락거리게 되며, 그 결과로 지터가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유무선 공유기와 DAC 사이에 양질의 네트워크 스위치를 투입시킬 경우, DAC로 유입이 되는 디퍼런셜 노이즈 총량이 줄어들게 되며, DAC의 그라운드 오염이 줄어들게 되면서, 그 결과로 지터가 줄어들게 된다.
Melco S100 설계

멜코사에서 S100을 설계하면서 중점을 두었던 것은 포트 1번부터 4번까지의 100Mb급 포트에 데이터 인테그리티를 최우선 시킨 것이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스위치는 속도를 최우선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패킷 데이터, 타이밍, 패킷 순서의 인티그리티를 지켜주는 것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지만, 멜코의 설계자는 앞서 열거한 요소들이 음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고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조치했다. 멜코 사는 1번부터 4번까지의 포트에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연결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리고 5번부터 8번까지의 1000Mb급 포트에는 데이터 트래픽이 큰 컴퓨터, 룬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을 연결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 밖에도 2개의 SFP포트가 마련되어 있다. 앞단 네트워크 제품에서 발생한 디퍼런셜 노이즈가 뒷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고 싶다면 SFP 광전송 포트를 시도해 볼 수 있다.

그리고 S100를 설계할 때 고해상도 음원의 스트림을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패킷 버퍼 사이즈를 1.5MB로 늘려 잡았다.
또한 S100를 설계할 때 전원을 세심하게 고려했다. 전원을 외부공급으로 처리함으로써 전기적인 노이즈가 신호처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했다.
그리고 별개의 보드에는 전원 노이즈를 낮추기 위한 캐패시터 뱅크 회로를 구성해 두었다. 캐패시터 뱅크에는 오디오 그레이드 니치콘과 Amtrans 필름콘덴서를 사용했다.
그 밖에도 포트가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점멸을 끌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LED 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노이즈가 발생하므로 음질을 위해서는 LED를 끄고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S100은 통상적인 오디오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전체의 무게는 2.5kg으로 바닥면과 옆면은 스테인리스판을 절곡 했고 전면과 상판에는 압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헤어라인으로 마감했다. 제품 색상은 검은색과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옆면의 외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볼륨감 있게 형상을 만들었다. 제품을 지지하는 발은 플라스틱 사출물에 펠트를 부착시킨 것이다.
제품을 켜는 스위치는 없으며 DC 케이블을 연결하면 바로 빨간색 전원이 들어오고 70초 동안 스타트 업이 끝나면 하늘색 전원으로 변경되면서 파워 온 상태가 된다.
청취 시스템
청취에 사용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ipTIME A5004NS 유무선 공유기, GLV Episode 1, Aruba 2530-8G 네트워크 스위치, GLV Episode 1 (10m), SOtM sNH-10G 스위칭 허브 + sCLK-ES 클럭 옵션, Stealth audio black magic V18 랜 케이블, MSB Signature DAC V + analog step attenuator + MSB Diamond Powerbase, MSB DAC V Renderer V2 모듈 (Roon endpoint), Bryston BDP-2 (Roon storage/MPD & storage), Nucleus plus (Roon core), SOtM dCBL-75 디지털 케이블, Audience Conductor SE 디지털 케이블, Classe CA-M300 모노 블록, Revel Ultima Studio2 플로어 스탠딩 스피커
룬 환경에서 들어보기
유무선 공유기와 DAC 사이에 Aruba 2530-8G 네트워크 스위치, SOtM Audio sNH-10G 네트워크 스위치 (sCLK-EX 고정밀 클럭 옵션 포함), Melco S100 네트워크 스위치를 각각 연결해서 비교해 보기로 했다.
청취에 사용한 사용 음원은 바이얼리니스트 김봄소리와 피아니스트 Rafal Blechacz이 연주한 드뷔시, 포레, 시마노프스키, 쇼팽 앨범 (24bit 96kHz, WAV),
Andrey Baranov가 연주하는 The Golden Violin 앨범에 수록된 Devil's Trill (24bit 88kHz, WAV)
Nareh Arghamanyan이 연주하는 Rachmaninov Morceaux de fantasie, Op.3 No.1 (DSD64) 등이다.
유무선 공유기와 DAC 사이에 Aruba 2530-8G 네트워크 스위치를 투입하고 나면, 유무선 공유기와 DAC를 직접 연결한 경우보다는 투박한 느낌이 줄어들긴 했지만 음질적인 면에서 충분하게 개선이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편이다.
유무선 공유기와 DAC 사이에 SOtM Audio sNH-10G 네트워크 스위치로 연결하고 나니 이전에 연결했던 Aruba 2530-8G 네트워크 스위치가 회색빛으로 메마른 음색에 음악이 그다지 흥겹게 들리지 않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SOtM Audio sNH-10G 네트워크 스위치를 사용하고 나서는 더 이상 메마르지 않게 들리고 음색이 화사하게 재생되면서 컴퓨터 장치를 통해서 나오는 소리라기보다는 엔트리급 오디오에서 나와주는 것처럼 충분히 개선된 소리를 즐기게 해 줬다.
유무선 공유기와 DAC 사이에 Melco S100 네트워크 스위치로 연결하고 나니 이전에 연결했던 SOtM Audio sNH-10G로 연결하고 나니 이전에 연결했던 SOtM Audio sNH-10G 네트워크 스위치가 가지고 있던 버릇과 한계를 느낄 수 있었다.
sNH-10G 네트워크 스위치는 녹음 공간의 잔향을 잘 표현하긴 하지만 저역은 야위면서 고역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고 긴장감 있게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듯한 느낌을 준다.
김봄소리의 바이올린 소리는 찰현악기의 특성을 고스란히 내기보다는 다소간 매끈하게 다듬어진 듯이 들린다. 거친 소리를 매끈하게 다듬어진 듯이 들려주기 때문에 불편하게 들리는 경우가 없을 것 같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격렬하게 활질 하면 오디오 시스템에서 감당할 수 있는 처리 한계를 넘어서 불편한 소리를 뱉어내듯이 쏟아내기도 한다. 이렇게 벌컥 쏟아지는 소리가 나올 때마다 서둘러서 볼륨을 낮춰야 해서 음악을 들으면서도 긴장을 늦출 수 없었다.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로 연결해 보고 나면 그동안 안 되는 도구를 가지고 쓸데없이 힘겹게 지지고 볶고 애썼다며 털썩 주저앉아 탄식할 정도로 소리는 완성도가 높고 표현력의 폭이 넓고 나쁜 버릇을 가지고 있지 않고 여유롭게 들린다.
김봄소리와 라파우 블레하치의 리코딩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고 단지 SOtM Audio sNH-10G 네트워크 스위치를 사용했을 때 허용하는 소리를 폭이 좁아져 있었을 뿐이었다.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를 연결한 이후에는 표현할 수 있는 다이내믹스의 폭이 확장되어서 소리가 벌컥 커질지도 모른 불안감을 가질 필요 없이 김봄소리가 바이올린으로 표현하는 쇼팽 야상곡에 몰입할 수 있게 된다.
SOtM Audio sNH-10G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했을 때는 안드레이 바라노프가 연주하는 Devil's Trill은 바이올린 소리가 다소간 팽팽한 긴장감을 가지고 자지러지듯 들린다는 인상을 남겨줬지만,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하고 나니 설익은 연주자처럼 들리던 느낌이 사라지고 깊이 있게 표현한다는 느낌을 전해준다. 안드레이 바라노프는 음영이 드러나도록 표현하고 있고 굴곡이 있는 드라마를 재현하고 있었는데...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가 없었더라면 본질을 알아보지 못할 뻔했다.
SOtM Audio sNH-10G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했을 때는 나레 아르가마니안이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피아노를 위한 환상 소품집 Op.3 No.1 은 재생하기 어려운 리코딩이라고 느꼈었다. 볼륨을 낮추면 피아니시모가 파묻혀서 잘 들리지 않고, 그렇다고 볼륨을 높이면 포르테시모는 너무 크게 들려서 서둘러서 볼륨을 줄이게 되는 곡이라는 기억이 남아있다.
그런데 멜코 S100을 연결하고 나니 볼륨을 높이지 않더라도 들릴 듯 안 들릴 듯 애를 태우듯이 표현되는 느낌을 놓치지 않고 잘 잡아내어 들려준다. 미세한 소리를 재생하는 능력이 개선되어 미묘한 음악의 뉘앙스를 놓치지 않고 잘 표현하게 된다.
그리고 불필요하게 긴장을 불러일으키지 않게 하니 연주자가 의도한 템포와 피치와 흐름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원래 음악이 가지고 있던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트리비아 1: 외장 DC 12V 파워 서플라이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가 최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수준급의 12V DC 파워 서플라이가 필요하다. 번들 아답터로 연결했을 때는 소리가 예리해지고 살집이 줄어들고 호흡이 짧아지고 무게감이 줄어들고 그 대신 재빠름이 강조되고 또랑또랑하다는 인상이 주도적으로 느껴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파워 서플라이의 수준을 높여주면 향상된 음질로 고스란히 보답해 준다.
트리비아 2: 네트워크 스위치 2대 운용
유무선 공유기와 DAC 사이에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를 투입했을 때 향상되는 음질에 고무되어,
유무선 공유기와 DAC 사이에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와, Aruba 2530-8G를 거친 후에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를 거치도록 했을 때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기로 했다.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Aruba 2530-8G 네트워크 스위치를 추가했을 때 재생 음질의 완성도가 현격하게 높아졌다. 그 격차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를 도입할 때 네트워크 스위치를 추가로 하나 더 도입하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
트리비아 3: MPD로 재생할 때 (스위칭 허브가 아이들링 할지라도)
브라이스턴 BDP-2에 내장된 음원을 MPD로 재생하는 경우 스위칭 허브나 랜 케이블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흐르지 않는다. 조작 명령어를 전달하고 컨트롤러에 재생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만 흐르게 될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스위치를 변경해 보면 그 결과는 위에서 열거한 특성에서 한치도 어긋나지 않고 완전히 동일한 현상이 벌어진다. 이것은 IT제품은 오디오에 연결되어 있으면 DAC의 재생 음질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브라이스턴 BDP-2에 내장된 음원을 MPD로 재생할 때도 네트워크 스위치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듯이 오렌더도 마찬가지로 유무선 공유기나 네트워크 스위치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오렌더를 사용하고 있다 하더라도 오디오 재생 특성이 우수한 네트워크 스위치를 사용해야 음질을 보존할 수 있다.
맺음말
DAC에 연결했을 때도 음질을 저하시키지 않게 설계한 IT장비는 나타나기 쉽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 왔지만 멜코는 그 어려운 일을 해냈다. 파일과 스트리밍 재생의 시대에 오디오 재생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갈구하는 오디오 애호가에게 멜코 S100 네트워크 스위치를 도입해 보실 것을 강력하게 추천하고 싶다. 글로 설명하자니 길어질 수밖에 없지만 실제로 체험해 보신다면 단 몇 분 안에 어떤지 상황을 판단하실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