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케이블 - RFI노이즈가 오디오 신호에 영향을 주는 과정풀이
2010/03/18
RFI노이즈가 오디오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오디오 쪽에서는 거의 패러다임으로 정착이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개괄적인 설명은 불충분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모호한 설명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봅니다.
저는 USB 리피터 2개를 사용해서 11미터로 연장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USB 리피터는 허술해 보이는 저가형 중국산 제품이고요
긴 거리의 경로 중에 맨 마지막 부분 1미터 정도만 차폐에 신경을 쓴 USB케이블로 바꾼다고 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RFI 노이즈 혼입이 오디오 신호에 영향을 미친다'는 개괄적인 설명에 의하면 이미 앞부분에서 신호가 열화 되었기 때문에 뒤에서 차폐를 잘한다고 하더라도 기존과 동일한 수준의 결과가 나와주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어떨까요? 놀랍게도 맨 마지막 부분 1미터 정도를 교체해 주어도 음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USB케이블을 경험해 보신 분은 많지 않으셔서 제가 이렇게 얘기하더라도 눈만 동그랗게 뜨고 계실 테지만...
아마도 전원케이블에서는 이런 유사한 경험을 해 보신 분은 많으실 것 같습니다.
허술한 멀티탭에 좋은 전원케이블을 꽂아 쓰면 전체적으로는 오디오 퍼포먼스가 향상되는 현상이요.
따라서 막연한 노이즈 혼입 모델을 좀 더 구체적이고 전기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제시하는 설명은 이렇습니다. 틀릴 수도 있으니 교정이 필요하면 알려주세요.
(1) 오디오 몸체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전선은 전원케이블이 되었건 신호인입선이건 간에 따지지 않고 각각은 RFI노이즈 안테나 역할을 한다 (안테나=전기 공명현상)
(2) 그리고 그 연장선은 형상이나 구조나 길이나 재질에 따라 인입되는 RFI 노이즈를 선택적으로 집진한다 (=특정 주파수와 그의 harmonic주파수)
(3) 그 연장선의 안테나 특성은 터미네이션에 의해 결정된다. (= 연장해서 연결하더라도 이미 결정된 안테나 특성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는다)
(4) 안테나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인입된 특정 파장은 장치에 흐르는 전기 신호파형을 변형시킨다.
(5) 변형된 신호파형은 오디오에 영향을 미친다.
아마도 FM방송을 잡는 아날로그 튜너를 많이 다뤄보셨던 분들이라면 이런 설명을 보신다고 하더라도 기괴하게 받아들이지 않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전송통로 자체의 특성으로 전기의 파형이 변형되면 그 전송통로에 흐르는 전기 파형이 디지털 신호가 되었건 아날로그 신호가 되었건 소리에 영향을 줄 수 있겠지요.